X

"전 세계 기후변화 경각심↑…Z세대 '물가상승' 더 걱정"

조민정 기자I 2023.11.27 08:58:15

엡손, 기후현실 바로미터 2023 조사 발표
응답자 55% ''기후변화'' 꼽아…작년엔 ''경제 안정화''
Z세대, 기후변화에 낙관적·소극적인 태도

[이데일리 조민정 기자] 전 세계 시민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경각심이 커진 가운데 Z세대는 ‘물가 상승’을 더 큰 문제점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엡손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전 세계 시민들의 인식과 행동을 조사한 ‘기후현실 바로미터 2023’ 결과를 발표했다.
27일 엡손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전 세계 시민들의 인식과 행동을 조사한 ‘기후현실 바로미터 2023’ 결과를 발표했다. 전 세계 39개국, 3만294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이번 조사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기후변화에 대한 경각심이 지난해보다 한층 커졌다는 것이다. 세계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점을 묻는 질문에 전 세계 응답자의 55%가 ‘기후변화’라고 대답했다. 이어 물가 상승(53%), 빈곤(37%), 분쟁(23%), 공중보건(21%)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조사에선 경제 안정화(1위) △물가 상승(2위) △기후 변화(3위)로 선택했다.

최근 유례없는 폭염, 가뭄 그리고 해수면 상승 등의 이상기후 현상을 경험한 시민들이 많아지면서 기후변화에 대한 심각성과 위기의식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Z세대는 동일한 질문에 대해 기후변화(47%)보다 물가 상승(51%)을 더 큰 문제점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생 동안 기후 재난을 피할 수 있다고 생각하나’라는 질문에 Z세대의 약 절반(49%)이 매우 긍정적이라고 답하며 기후변화에 대해 낙관적인 태도를 보였다.

55세 이상 연령에 비해 Z세대들이 기후변화에 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해석된다. 금리 인상과 전쟁 등으로 물가가 상승함에 따라 비교적 임금이 낮은 탓에 친환경 제품을 구매할 여유가 없고, ‘기후변화 네이티브’로 태어나면서 지구온난화를 겪었기 때문에 기후 변화에 대한 인식이 낮아서다.

국가별로 구분해 보면 글로벌 우선순위 이슈로 기후변화를 선정한 나라는 케냐(70.7%), 인도네시아(67.2%), 한국(66.1%)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호주(73.9%), 그리스(71.9%), 미국(53.1%) 등은 물가 상승을 더 중대한 문제라고 인식했다.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행동에 대해서는 다회용 제품 사용(68%)과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62%), 분리배출 습관화(62%) 등 일상생활에서 쉽게 실천 가능한 활동들을 꼽았다. 기업엔 친환경 기술 및 제품 개발 등 근본적인 해결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 역시 세계적인 추세와 동일하게 기후 변화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가 높아진 것으로 드러났다. ‘일생동안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를 피할 수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33.2%로 지난해보다 5.9%포인트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이는 세계 평균치인 47%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후지이 시게오 한국엡손 대표는 “기후현실 바로미터는 기후 변화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력과 사람들의 환경 인식 변화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해 준다”며 “엡손은 기후 위기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제품의 개발 단계에서부터 친환경을 염두에 둔 솔루션을 만들고 투자하여 기후 위기라는 전 세계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전사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전 세계 기후위기

- 코람코, ‘기후변화대응전략’ 담은 TCFD보고서 발간 - 광명 '기후의병 탄소중립 포인트' 실천분야 17개로 확대 - 해수부, ‘안전 항만’ 위해 2032년까지 8000억 투입…"기후변화 대응"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