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여론조사에서 나타나는 정당 지지도 변화를 보면 이러한 결과는 피할 수 없는 결과였다. 2020년까지 약 7% 수준(한국갤럽 조사 기준)의 지지율을 유지했던 정의당은 이젠 5%를 유지하기도 힘들어졌다. 2017년 대선에서 6.17%라는 고무적인 득표율을 기록했던 심상정 후보는 5년 후 대선에서 2.37%라는 만족스럽지 못한 성적표를 받아들여야 했다.
이러한 정의당의 영향력 축소는 ‘민주당 2중대’라는 오명을 해소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위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신설에 동의했던 것과 조국·박원순·오거돈 사태 당시에 진보정당으로서 선명한 입장을 밝히지 못한 것 등이 결정적이었다. 이번에도 민주당이 추진하는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법안 강행 처리에 또다시 힘을 실어줬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정의당의 영향력이 축소되고 있는 것은 자업자득이다. 검수완박 법안 처리에 또다시 동조를 했는데, 이는 민주당 2중대라는 말을 들을 수밖에 없는 것”이라며 “검수완박의 경우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 등이 피해를 입을 수도 있는 사안인데 이에 대해 동조하면서 당의 정체성마저도 흔들리는 셈이 됐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정당의 성장을 위해 필요한 확실한 지지기반(지역·세대)이 사라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실제 지난 2018년 지방선거에는 전북·전남지사 후보를 냈지만, 이번 선거에선 광주시장을 제외한 호남 지역에 후보를 내지 못했다. 또한 강민진 전 청년정의당 대표의 성비위 피해 사실 등이 알려지면서 청년층에서도 외면받고 있는 상황이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정의당은 과거 창원이나 인천·호남 등에서 군데군데 지역 기반이 있었지만 지금은 사라졌고, 핵심 지지기반 세대인 80년 후반~90년 초반 학번의 세대 역시 거대 양당이 지지층 결집을 위해 치열하게 맞붙으면서 확보하지 못했다”며 “블루오션인 2030세대도 잊힐 만하면 벌어지는 성비위 사건 등 때문에 흡수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