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尹, 합동드론부대 조기 창설 지시…드론킬러도 뜬다

송주오 기자I 2023.01.04 16:40:41

합동드론부대, 감시·정찰·전자전 등 다목적 임무 수행
"제한적 임무 그쳤던 2018년보다 확대된 개념"
소형 드론 대량 생산 및 스텔스 무인기 개발

[이데일리 송주오 박태진 김관용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북한의 무인기 침범에 대응할 합동드론부대 창설을 지시했다. 또 소형 드론의 대량 생산과 스텔스 무인기 개발도 주문했다. 북한을 압도하는 전력으로 도발을 억제하겠다는 전략이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지난해 12월 30일 오후 경기 연천군 육군 제5보병사단 수색대대에서 소총조준사격드론을 살펴보고 있다.(사진=국회사진취재단)
윤 대통령은 4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가안보실과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국방과학연구소(ADD)로부터 ‘무인기 대응 전략’을 보고받은 뒤 이같이 지시했다고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은 전했다. 합동드론부대는 감시와 정찰, 전자전 등 다목적 임무 수행을 목적으로 한다. 이외에도 연내 탐지가 어려운 소형 드론의 대량 생산 체계를 구축하고 스텔스 무인가 개발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국방부는 이날 합동드론부대 조기 창설 계획을 공식화했다. 합동드론부대는 지난 2018년 창설된 드론봇 전투단보다 규모와 기능면에서 확대된 부대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그동안 드론부대라고 하는 것은 사실 지작사(지상작전사령부) 위주의 드론부대라고 하더라도 실효적 훈련이 거의 없었던 것”이라며 “이번에 다목적 기능의 합동 드론 부대라는 건 사실 이러한 제한적 임무를 넘어서 타격이나 전자전이나 심리전을 포함한 다양한 임무 수행이 가능한 부대인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군 당국은 감시·식별·타격 체계를 강화해 무인기·드론 방공망을 촘촘히 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윤 대통령이 군에 ‘연내 생산’을 지시한 스텔스 무인기, 소형 드론 등은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기존에 보유한 기술을 활용해 실제 올해 안에 생산이 가능할 것이라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아울러 드론을 잡는 ‘드론 킬러’ 체계도 신속히 개발하기로 했다. 드론 킬러는 적 드론을 레이저빔이나 총기 발사, 그물망 투하 등의 방식으로 격추하거나 떨어트리는 드론 체계를 말한다. 국방부는 주로 군단급 무인기 등 중대형 무인기 개발에 집중해왔지만, 현재 한국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소형 무인기가 대세인 만큼 이미 확보한 관련 기술을 활용해 소형으로 만들면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다는 취지다.

한반도 핵공포

- 北 최고인민회의 임박…김정은 참석·대남 메시지 등 주목 - 北 "美 아무리 발악해도 명실상부 핵보유국 지위는 현실" - 한반도 '핵 공포' 고조…3월 美 전략자산 집결 가능성[김관용의 軍界一學]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