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올림픽 한 달도 안 남았는데…日 10명 중 7명 "유관중 개최 싫다"

김보겸 기자I 2021.06.28 13:37:50

"긴급사태 다시 발령, 관객은 받지 말라"
이미 수조원 손실…"치킨게임 돌입했다"
도쿄서 다시 감염자↑ 긴급사태 재발령 검토
스가, "필요하다면 무관중 개최도 가능"

한 활동가가 2020년에 이어 2021년 도쿄올림픽에도 반대한다는 내용의 종이를 들고 있다(사진=AFP)
[이데일리 김보겸 기자] 도쿄올림픽 개최가 한 달도 남지 않은 일본에서 시민 10명 중 7명이 올림픽 유관중 개최를 부정적으로 생각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지난 21일 긴급사태를 해제한 뒤 개최지인 도쿄에서 확진자가 치솟으면서 이에 대한 불만 여론도 거세다. 이미 올림픽을 한 차례 미뤄 수천억대 손실이 발생한 만큼 일본 정부가 쉽사리 나서지 못하는 가운데, 고심 끝에 무관중 올림픽으로 개최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여론은 긴급사태를 다시 선포하고 무관중으로 개최하라는 쪽이다. 28일 니혼게이자이(닛케이)와 텔레비전도쿄는 25일부터 27일까지 시민 1007명을 대상으로 도쿄올림픽 개최와 관련해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33%는 올림픽을 무관중으로 개최해야 한다고 했다. 응답자 37%는 개최를 중단하거나 다시 미뤄야 한다고 했다. 일본 시민 10명 중 7명이 올림픽 유관중 개최에 부정적인 것이다. 반면 평소와 똑같이 관객을 받아야 한다는 응답은 4%에 불과했다.

긴급사태를 너무 빨리 해제했다는 응답도 52%에 달했다. 인도발 델타 변이가 확산하는 등 코로나19 감염이 계속되는 상황에서도 올림픽 개최를 강행하는 정부의 설명이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85%를 기록했다. 충분하다는 답변은 11%에 그쳤다.

2013년 자크 로게 당시 IOC 위원장이 2020년 올림픽 개최지로 도쿄가 선정됐음을 발표하고 있다(사진=AFP)
日정부는 IOC와 눈치싸움 중

일본 정부가 올림픽 개최와 관련해 속 시원히 설명에 나서지 못하는 것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눈치싸움에 들어갔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일본은 이미 올림픽을 1년 미루면서 손실을 봤다. 추가 비용만 3000억엔(약 3조642억원)으로 추산된다. 한 조직위 관계자는 마이니치신문에 “작년 연기는 일본 측에서 먼저 제안한 것”이라며 “IOC는 돈을 낼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아무도 (중단이냐 강행이냐) 판도라의 상자를 열고 싶어 하지 않는다”며 도쿄올림픽 개최가 치킨게임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했다.

개최 도시인 도쿄의 주머니 상황도 넉넉하지 않다. 도쿄도 코로나19 대책에 쓰이는 재정조정기금은 작년 9032억엔에서 현재 95% 가까이 소진됐다고 마이니치는 전했다. 도쿄올림픽을 다시 연기하는 데 대해 도쿄도 관계자는 “추가 경비가 얼마나 될지 알 수 없고 비용 분담은 그 다음”이라면서도 “지금 재무상황을 감안하면 도쿄가 뒤집어쓰는 것만큼은 피하고 싶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료도 “현 상태에서 올림픽 축소 방안은 전혀 낼 수 없다”고 토로했다.

도쿄에 긴급사태 발령이 해제된 지난 21일 시민들이 식당에서 저녁을 먹고 있다(사진=AFP)
도쿄에 긴급사태 발령하면 무관중 개최 가능성도

이런 가운데 일본 정부가 무관중으로 올림픽을 개최할 가능성도 나온다. 개최지인 도쿄의 코로나19 상황도 무관중 개최 결정을 압박하고 있다. 긴급사태를 해제한 뒤 음식점에서 술 판매를 일부 허용한 뒤 도내 감염자 수가 늘어나고 있다. 26일 도쿄에선 하루 534명이 신규 확진돼 긴급사태 해제 직전인 일주일 전 토요일보다 146명 늘었다. 일주일 기준으로 계산하면 전주 대비 하루 평균 확진자 수 증가율은 26%에 달하며 코로나19 재확산 조짐을 보였다. 이에 따라 도쿄에 긴급사태가 재발령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니시무라 야스토시 경제재생상은 지난 27일 “필요할 경우 주저하지 않고 긴급사태를 선언하겠다”고 밝혔다.

스가 요시히데 총리도 무관중으로 올림픽을 열 수 있다고 시사했다. 일본 정부와 IOC는 지난 21일 회의에서 도쿄올림픽 경기장에 수용 인원의 50% 또는 최대 1만명까지 관중을 들여보내기로 결정했다. 단 7월 12일 이후 도쿄에 긴급사태나 중점조치가 발령되면 무관중 개최를 포함해 관중 수용 여부를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스가 총리는 지난 21일 기자단에 “긴급사태 선언이 필요하다면 무관중 개최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제32회 도쿄 올림픽

- ''영혼의 단짝'' 美日, 석유 방출도 올림픽 보이콧도 한몸처럼[김보겸의 일본in] - 도쿄올림픽 ‘노쇼’한 北, 베이징동계올림픽 참석 못한다 - [카드뉴스]'우리에겐 날개가 있다' 도쿄 패럴림픽을 빛낸 영웅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