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석탄발전 승인 7년만 최대…한반도 미세먼지 더 나빠지나요[궁즉답]

김경은 기자I 2023.03.03 15:59:17

작년 발전기 기준 168기 승인…2015년 이후 최대 규모
오염물질 배출 적을수도…"중장기적 영향 예단 아직 어려워"

(자료=이데일리DB)
최근 중국에서 한국과 인접한 지역에서 석탄발전소 건설을 늘리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는데요. 동부 지역 석탄발전소가 우리나라 미세먼지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의견과 아니라는 의견이 갈리는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환경부나 전문가들은 어떻게 보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중국이 지난해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무더기로 허가했습니다. 특히 한반도와 인접한 동부 해안지역에 석탄발전소 건설붐이 일어나면서 향후 우리나라 미세먼지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우려가 나옵니다. 단기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겠지만 중장기적으로 미칠 여파에 우리 정부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다만 신규 석탄발전소 허가와 미세먼지 증가를 직접적인 인과관계로 보기엔 어렵다는 분석입니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비정부 기구인 에너지·청정대기연구센터(CREA)와 글로벌에너지모니터(GEM) 보고서를 인용해 중국 정부가 지난해 총 106GW 규모 석탄 발전 사업(발전기 기준 168기)을 허가했다고 최근 보도했습니다. 이는 2015년 이후 최대 규모입니다.

일주일에 두꼴로 허가를 내준셈인데요, 단시간 빠른 인·허가로 공사에 들어간 석탄 발전 사업 규모도 50GW에 이른다고 합니다.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 착공 용량을 다 합친 것보다 8배 큽니다.

중국 허베이성의 석탄화력발전소.(사진=AFP)
신규 석탄발전 사업은 산업 중심지인 광둥성과 장쑤성, 안후이성, 저장성 등 동부 해안지역에서 특히 활발했는데, 이 가운데 장쑤성과 저장성은 서해를 사이에 두고 한반도와 마주 보고 있습니다.

편서풍이 부는 봄철 중국의 석탄발전소 가동이 늘어나면 한반도 미세먼지 농도는 악화가 불가피할 수밖에 없습니다.

오는 2060년 탄소중립을 하겠다고 국제사회에 선언해 놓고 이렇게 발전소 건설을 늘린 것은 비판의 여지가 없어 보입니다. 다만 미세먼지 영향만 놓고 볼 때는 일단 중립을 택해야할 것 같습니다. 신규 발전소가 많이 들어선다고해서 곧바로 미세먼지가 늘어날 것이라고 단편적으로 볼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중국은 현재 노후 석탄발전소를 동시에 폐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같은 발전량을 가동한다고 하면 신규 발전소를 가동하는 것이 오염물질 배출은 더 줄어듭니다. 또 중국의 미세먼지 노이로제는 우리나라보다 훨씬 심하다는 전언입니다. 중국의 미세먼지 농도는 한반도에 비해 훨씬 심각하고, 자국의 미세먼지 대응을 위해 매우 예민하게 대응하고 있다는 겁니다.

우리나라와 중국의 미세먼지 농도가 지난해 관측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것은 이 같은 양국의 대응 결과입니다. 지난해 우리나라는 전국 초미세먼지(PM2.5) 나쁨 일수가 관측이 시작된 2015년 이후 7년래 가장 적은 17일을 기록했습니다. 전국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전년과 같은 18㎍/㎥로, 2015년(26㎍/㎥)에 비해 31% 개선된 수치입니다. 중국 역시 지난해(1∼11월) 전역(339개 지역)의 초미세먼지가 평균 28㎍/㎥로 최저치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아울러 신규 건설이 집중된 곳은 동남쪽 해안가로 계절풍의 영향을 감안하면, 그나마 다행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는 시기는 주로 겨울과 초봄입니다. 겨울철은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으로 남서풍이 유입되는 여름과 달리 대륙에서 북서풍이 유입됩니다. 바람의 방향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에 직접 영향을 미칠 신규 발전소는 해안가가 아닌 중국 내륙에 집중된 것으로 보입니다. 발전량을 늘릴 경우 중국 내륙에 미칠 영향이 높은 위치인 겁니다.

동부해안가에 석탄발전소가 주로 건설되는 이유는 원료 수입 등을 위해 석탄발전소가 대부분 해안가에 위치한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우리나라는 수도권의 높은 전력수요를 위해 충남 당진 등 서해안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김영민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과장은 이데일리와의 전화통화에서 “현재 중국 당국의 공식입장이 발표된 것이 아닌만큼 섣부른 예단은 어렵다”면서도 “노후 발전소 폐쇄와 중국의 미세먼지에 대한 대책 등을 정부도 주의깊게 모니터링하면서 협력을 강화해나가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우리나라와 중국 환경당국은 핫라인을 통해 미세먼지 공동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데일리 궁즉답에서는 독자 여러분들이 알고 싶어하는 모든 이슈에 기자들이 직접 답을 드립니다. 채택되신 분들에게는 모바일 상품권을 보내드립니다.
  • 이메일 : jebo@edaily.co.kr
  • 카카오톡 : @씀 news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