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이야기]인류의 문명을 바꾼 '산업의 쌀' 철

하지나 기자I 2024.02.17 09:54:16

철기시대, 활발한 정복전쟁으로 국가 형성
고로법 개발로 대량생산..산업혁명 가속화
우리 몸의 필수영양소..부족하면 빈혈 발생

[이데일리 하지나 기자] 구석기시대, 뗀석기기대, 신석기시대, 간석기, 청동기시대, 철기시대....학창시절에 달달 외웠던 기억이 납니다. 특히 철기시대부터 인류 문명은 급속도로 발전하게 되는데요. 농사를 짓게 되고 철 무기를 통한 정복 전쟁이 활발해지면서 넓은 영토를 갖는 국가도 등장하게 됩니다.

수천년이 지난 지금도 철은 없어서는 안되는 아주 중요한 금속입니다. 철을 두고 흔히 ‘산업의 쌀’이라도 하죠.

철은 원자번호 26번으로 원소 기호는 Fe입니다. 이는 철을 의미하는 라틴어 ‘ferrum’에서 유래됐습니다. 영어 iron도 전투, 싸움을 뜻하는 고대영어 ‘iren’에서 유래됐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그러고보면 철은 아주 오래전부터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처음에 인간들은 하늘에서 떨어진 철, 즉 운석철을 통해 철을 이용할 수 있었는데요. 인류가 최초로 사용한 철은 ‘운석철’이었습니다.

기원전 1500년경이 되어서야 드디어 철광석을 제련해 철을 얻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았습니다. 철광석에서 철을 얻기 위해서는 1500℃가 넘는 온도가 필요한데 당시 기술로는 이같이 높은 온도를 만들기 어려웠죠. 수차례 담금질을 통해 단단한 강철을 얻어야 했죠. 그리스와 로마 시대에 용광로가 만들어지기 전까지는 말이죠.

지금의 고로를 통해 철을 생산하는 방법은 1855년 영국인 헨리 베세머에 의해 개발됩니다. 이로써 인류 문명은 한단계 더 도약할 수 있게 됐습니다. 제2의 철기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철강을 더욱 저렴하게 생산해 기계 및 철도 부문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에 철강을 대규모로 공급할 수 있게 되면서 산업혁명을 가속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철은 우리 몸에도 꼭 필요한 원소인데요. 철은 단백질과 효소, 헤모글로빈에 포함돼 있습니다. 산소는 헤모글로빈에 있는 철과 결합해 혈관을 타고 이동하면서 온몸의 세포로 전달됩니다. 철이 부족하면 체내 산소 공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우리가 흔히 말하는 빈혈이 생깁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