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일용 포스코DX AI센터장은 6일 서울 종로구 동화면세점에서 개최한 ‘AI 테크 미디어 데이’를 통해 “산업용 AI야말로 실질적 재무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포스코DX는 올해 AI기술센터를 신설하고 산업용 AI 사업을 확대 중이다. 철강·이차전지 소재·물류 등 산업현장에 특화한 산업용 AI를 확산해 인공지능 전환(AX)을 주도해나간다는 포부다. 재무가치가 확실한 분야인 만큼 확산도 빠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제철소에서는 수십 톤의 철강재를 운반하는 크레인에 AI를 적용해 무인화하는 한편 이차전지 소재공장 등에서 운영되는 산업용 로봇에도 적용해 눈 역할을 하며 성과를 내고 있다.
윤 센터장은 “그동안 사람이 했던 일들이 카메라와 센서, AI를 통해 자율화되고 있다”며 “포스코DX는 이 같은 시스템들을 개발하기 위해 산업 현장과 동일한 실험환경을 갖춰 놓고 다양한 데이터를 모으고 최적화했다”고 설명했다.
윤 센터장은 정보기술(IT)뿐만 아니라 운영기술(OT)에 대한 이해가 높다는 점이 산업용 AI 분야에서 포스코DX의 경쟁력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산업 현장에서 쓸 수 있는 고도화된 자율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선 AI 자체만으로는 어렵고 융합 AI를 추구해야 한다”며 “ IT, OT, 센서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업할 수 있고 이를 뒷받침하는 시스템과 리더십이 중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내 유일의 IT·OT 융합기업인 포스코DX가 가장 잘할 수 있는 분야”라고 강조했다.
포스코DX는 중후장대 제조산업에서 기존에 없었던 AI모델을 개발하고, 우선적으로 그룹사 레퍼런스를 확보한 후 대외 사업까지 펼친다는 계획이다. 윤일용 포스코DX AI센터장은 “AI기술센터가 철강, 이차전지 소재 등 중후장대 산업현장에 특화한 독창적 AI 기술을 개발, 확산해 포스코DX가 산업 AI 전문 기업으로 성장해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