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대환대출 흥행에도 '네카토핀' 못 웃는 속내

임유경 기자I 2023.06.29 16:33:59

대환대출 인프라 출범 후 5000억원 대출 자산 이동
핀테크 플랫폼보다 은행 앱 통한 실행 훨씬 많아
금융사 입점 저조해 상품 구성 어려운 탓
더 싼 금리 상품 찾아 은행 앱 찾아 간 듯

[이데일리 임유경 기자] 스마트폰으로 더 낮은 금리의 신용대출을 갈아탈 수 있는 대환대출 인프라가 출시 후 흥행을 이어가고 있지만, 핀테크 플랫폼들의 표정은 밝지 않다. 은행 앱을 통해 대환대출을 실행한 경우가 많아, 핀테크들은 별 수혜를 받지 못해서다. 핀테크 업계는 금융사들이 입점에 소극적으로 나오면서 비교·추천이 핵심인 플랫폼의 효용성이 떨어진 탓이라고 아쉬워한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1일까지 대환대출 인프라를 통해 약 2만건, 5000억원의 대출자산이 이동한 것으로 집계됐다. 낮은 금리로 갈아탄 소비자들이 절감한 총 연간 이자 규모는 100억원으로 추산됐다. 지난달 31일 대환대출 인프라 출범 후 영업일 기준으로 15일 만에 성과다.

(사진=연합뉴스)


대환대출 인프라는 흥행에 성공했지만, 인프라에 출범에 맞춰 대출갈아타기 서비스를 선보인 핀테크 업계 분위기는 좋지 않다. 핀테크들은 여러 금융사 상품을 비교·추천하고 최종 대출 실행까지 이뤄져야 수수료 수익을 얻는데, 대출 실행 실적이 기대했던 것보다 저조해서다. 대환대출 서비스는 핀테크 앱과 금융사 앱, 두 가지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데, 은행 앱을 통해 대출을 갈아탄 경우가 훨씬 많은 것으로 보인다. “전체 이용액 중 30% 정도만 플랫폼을 통해 실행된 것으로 추정된다”는 게 업계 전언이다.

애초 비교 추천까지 해주는 핀테크 앱에 대한 선호가 더 높을 것으로 보고 금융사가 플랫폼에 종속되는 것 아니냐고 우려했는데, 막상 서비스가 시작되니 반대 결과가 나온 것이다.

핀테크 업계는 이런 상황이 “플랫폼 효용성이 떨어진 결과”라고 진단하고 있다. 금융사가 플랫폼 입점에 소극적으로 나오면서, 플랫폼이 소비자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상품 구성이 빈약해진 탓이라는 얘기다.

업계 관계자는 “핀테크 플랫폼에서 원하는 상품이 나오지 않으니, 더 낮은 금리의 상품을 찾기 위해 은행 앱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 같다”고 했다. 그는 “대환대출 인프라는 소비자가 여러 금융사의 상품을 비교·선택할 수 있게 해 금융사 간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시작됐는데, 제도 도입 취지와 맞지 않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금융당국이 금융사의 핀테크 입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독려하는 동시에, 핀테크들이 다양한 상품을 구성할 수 있도록 ‘N대 N 대환’도 열어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시중은행은 물론 저축은행의 참여도 저조한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중·저신용자에 맞는 상품을 추천하려면 저축은행이 플랫폼에 들어와야 하는데, 시중은행과 금리로만 비교하면 메리트가 적다고 판단해 입점을 꺼린다”는 설명이다.

그는 “지금은 한 개 대출을 새로운 대출 한 개로만 갈아탈 수 있는 ‘1대 1 대환’만 가능한데, 여러 대출을 한 개 대출로 갈아타는 ‘N대 1’이나 유리한 조건의 여러 개 대출로 다시 묶을 수 있는 ‘N대 N 대환’도 열어줘야 저축은행이 대출 한도 등 다양한 측면에서 경쟁력을 가지고 플랫폼에 들어오게 될 것”이라고 제언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