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덴티움, 중국발 훈풍에 올해 매출 5000억 겨냥

김새미 기자I 2024.03.04 14:00:52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덴티움(145720)이 중국 임플란트 시장 성장에 힘입어 올해 실적 성장을 예고하고 있다. 덴티움은 내부적으로 올해 연매출 5000억원을 목표로 삼고 있다.

덴티움 광교 사옥 (사진=덴티움)
2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덴티움의 지난해 매출은 3938억원으로 10.7%, 영업이익은 1319억원으로 4.9% 각각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러한 호실적에는 중국 수출 호조가 뒷받침됐다.

◇中 VBP 도입에도 임플란트 시장 성장…덴티움 수혜 기대

덴티움의 올해 중국 매출은 2019억원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지난해 1824억원에 비해 8.5% 성장한 수치다. 특히 덴티움의 중국 매출은 지난해 4분기에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보다 36.7% 급증한 574억원을 기록했다.

덴티움 중국 매출 추이 (자료=덴티움)
이러한 중국 매출 성장은 올해 더 가파를 것으로 기대된다. 증권가에서는 덴티움이 올해 중국 임플란트 시장 성장의 수혜를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4월부터 임플란트에 대해 ‘정부 주도 대량구매’(VBP)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VBP로 인해 덴티움 임플란트의 중국 내 공급가는 낮아졌지만 중국 내 임플란트가 대중화되면서 전체적인 시장 규모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글로벌 덴탈업체인 스트라우만은 최근 4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중국에서 VBP 가격 인하 영향을 수량(Q) 성장으로 상쇄하는 것이 확인됐다”면서 올해 중국 매출이 최대 20%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시장점유율과 매출 비중이 더 큰 덴티움의 실적 성장이 기대되는 대목이다.

덴티움의 중국법인은 이미 1월 목표치를 초과 달성했으며, 2월 주문량도 순항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보다 주문량이 증가하면서 올해 중국 매출이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중국 매출 성장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고, 강하게 업황 개선세가 지속될 전망”이라면서 덴티움의 올해 중국 매출이 지난해보다 17.8%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매출 5000억원 목표…디지털 덴티스트리 사업 박차

최근 증권가에서 예상하는 덴티움의 올해 매출은 4499억원이며, 영업이익은 1487억원이다. 이익률은 33.1%로 지난해(33.5%)와 비슷한 수준이다. 이러한 전망치는 올해 1분기 실적 추이에 따라 상향될 가능성이 높다.

덴티움이 올해 목표로 하고 있는 연매출은 5000억원으로 증권사 전망치보다 높다. 덴티움은 이러한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 디지털 덴티스트리 패키지 판매 확대에 주력하는 한편, 해외 생산 비중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비용을 절감하고 수익성을 개선할 방침이다.

디지털 덴티스트리란 치과 치료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시키는 것을 말한다. 덴티움은 임플란트 진단, 식립, 보철에 이르는 전체 치료 과정에 대한 디지털 덴티스트리 라인업을 구축 완료했다. 신규 개원하는 치과를 중심으로 패키지 판매를 확대해 매출 성장과 수익성 확대를 노린다는 전략이다. 디지털 덴티스트리 사업 강화를 위해 연구조직도 임플란트 시스템과 분리에 ICT 사업부 산하에 뒀다.

덴티움 관계자는 “최근 치과 의료기기 산업 전반에 디지털 덴티스트리를 토탈 솔루션으로 제공하는 영업 트렌드가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향후 1~2년은 (디지털 덴티스트리의) 국내 시장 장악력을 확대, 공고화하고 중국, 아시아, 중동시장을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덴티움은 2014년부터 중국 상하이, 베트남 다낭 등에 제조시설 투자를 해왔다. 올해부터는 해외 생산 비중을 확대하면서 생산 규모를 늘릴 방침이다. 2027년까지 글로벌 생산 시스템의 수직 계열화를 통한 규모의 경제를 이룰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25년부터 2027년까지 연매출을 매년 20% 성장시키겠다는 게 덴티움의 목표다.

김충현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드디어 중국 임플란트 판매가격 하락의 끝이 보인다”며 “VBP 시작 이후 20% 이상 하락한 것으로 추정되는 중국 임플란트 판매가격이 올해 들어서 안정화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이어 “금리 인하로 디지털 덴티스트리 수요가 회복될 경우와 중국 정부가 경기부양책을 시행할 경우 주가 실적 개선도 기대해볼 만하다”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