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라늄 수급 불안 좌시해선 안돼…공급망 구축 서둘러야"

윤종성 기자I 2024.01.15 04:02:00

[우라늄價 고공행진]③
<문주현 단국대 에너지공학과 교수 인터뷰>
"우라늄, 석유·리튬 못지 않은 핵심 광물자원"
"미국· 프랑스 등 우라늄 공급망 구축 분주해"
"SMR 확산 등으로 우라늄價 높게 유지될 것"

[이데일리 윤종성 기자] “미국, 프랑스 등 원전 강국들은 우라늄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늦기 전에 우리나라도 해외 광산개발 투자 등 우라늄 공급망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

문주현 단국대 교수
문주현 단국대 에너지공학과 교수는 9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로 쓰이는 우라늄은 석유나 리튬 못지 않게 국가 경제·산업을 지탱하는 핵심 광물 자원”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또 “우리나라가 원전을 활용해 에너지 공급의 효율성 극대화를 추진하려면 현재 25기 원전과 건설 중인 3기 원전 가동에 필요한 우라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정책 과제”라고 힘주어 말했다.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 등으로 원전의 핵심 원료인 우라늄 공급을 둘러싼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몽골 등을 방문해 우라늄 협력방안을 논의한 것도 수급 불안감과 가격 급등이 배경이 됐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카자흐스탄은 프랑스가 우라늄을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다. 우즈베키스탄은 세계 5위 우라늄 생산국이고, 몽골은 13만1000톤(t)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는 아시아 최대 우라늄 광산을 보유하고 있다.

독자적인 우라늄 공급망을 구축하는 등 러시아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는 미국의 움직임도 분주하다. 지난 달에는 ‘러시아산 우라늄 금수조치법’(The Prohibiting Russian Uranium Imports Act)이 미 하원을 통과했으며, 현재 상원에서 논의를 기다리고 있다. 미 에너지부에 따르면 미국은 전체 농축 우라늄 수입의 24%(2022년 기준)를 러시아에 의존하고 있다. 문 교수는 “러시아, 카자흐스탄, 영국 등에서 우라늄을 전량 수입하는 우리나라도 이제 수급 문제를 면밀히 점검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국내에선 원전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3년분 이상의 농축우라늄 재고를 비축하고 있어 당장 가격 급등, 수급 차질 등의 영향권에 놓여 있지는 않다. 하지만 미국의 러시아산 우라늄 금수조치법 제정 등 대(對)러 제재 강화 흐름에 휩쓸려 우리나라도 러시아에서 우라늄을 수입하지 못하는 상황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그의 지적이다. 우리나라는 우라늄을 전량 수입하고 있으며, 농축 우라늄은 러시아산 의존도가 높다. 그는 “당장 시급한 문제가 아니라고 해서 공급망 확보나 자립 노력에 소홀한다면 우라늄 수급이 향후 수 년내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 굉장히 심각한 위협 요인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구체적으로는 미국 센트루스 등 해외 기업의 우라늄 농축 시설에 대한 지분 투자, 해외 광산 개발 투자, 우라늄 생산국과의 자원 외교 강화 등을 통해 장기적인 우라늄 수급 체계를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그러면서 그는 “핵심 원자재·광물은 핵심자원은 우리가 필요로 할 때 언제든지 합리적인 가격으로 확보할 수 있는 공급망 체계가 구축돼야 한다. 에너지 안보를 위한 정부의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중·장기적으로는 바닷물에 녹아있는 우라늄을 추출하는 기술 개발 등을 제언했다. 바닷물에는 미량의 우라늄이 녹아 있다. 농도는 3ppb (parts per billion, 10억분의 1) 수준이다. 이 같은 해수 우라늄은 약 45억톤에 달해 지상에서 채취 가능한 우라늄(1700만톤)보다 260배 이상 많다. 하지만 2011년 히로시마 원전 사고 이후 우라늄 가격이 급락한 뒤로 채산성이 떨어져 상용화 연구까지 이어지진 못했다.

문 교수는 “앞으로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분야는 바닷물 속에 녹아있는 해양 우라늄”이라면서 “그간 경제성이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일본, 프랑스 등에서 관련 연구를 포기했지만, 우라늄 가격이 급등한 상황에서 다시 주목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원자력연구원에서 관련 연구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앞으로 차세대 혁신형 소형 모듈 원전(SMR) 등의 확산으로 우라늄 가격은 높게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장기적인 안목으로 우라늄 자원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R&D) 투자에 힘을 쏟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