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형 뛰니 아우도 달린다…AI 소프트웨어株 더 오를까

김응태 기자I 2024.05.21 05:05:00

폴라리스오피스 7%, 한글과컴퓨터 4%↑
반도체·전력설비 이어 SW 업체 주가도 강세
오픈AI 등 신규 모델 발표에 투심 호전
AI 정상회의, 엔비디아 실적 발표 등 관건

[이데일리 김응태 기자] 인공지능(AI) 열풍에 반도체, 전력 인프라 관련주가 급등한 데 이어 상대적으로 덜 올랐던 소프트웨어(SW) 관련주에도 매수세가 옮겨붙고 있다. 오픈AI, 구글 등 글로벌 기업들이 신규 AI 소프트웨어를 선보이며 관련 종목에 관심이 쏠린 덕이다. 증권가에선 이번 주 열리는 ‘AI 서울 정상회의’를 비롯한 엔비디아의 1분기 실적 발표 등이 이들 소프트웨어 기업들의 추가 주가 상승을 견인할 주요 동력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래픽=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반도체·전력설비株 급등에…AI SW 관련주도 ‘방긋’

20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폴라리스오피스(041020)는 전 거래일 대비 7.2% 오른 1만12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장중에는 1만550원까지 상승하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하기도 했다. 한글과컴퓨터(030520)는 3만100원으로 전거래일보다 3.97% 상승했다. 이스트소프트(047560)도 2만8750원을 기록하며 4.17% 올랐다.

이들 종목의 공통점은 AI 관련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업체라는 점이다. 폴라리스오피스는 오피스 프로그램에 생성형 AI 모델을 적용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오픈AI의 챗(Chat)GPT 등 대규모언어모델(LLM)을 연계해 효율적인 문서 작업을 할 수 있다.

한글과컴퓨터는 PDF 문서에서 데이터를 추출해 AI의 학습을 쉽게 해주는 ‘한컴 데이터 로더’ 등의 소프트웨어를 선보였다. 이스트소프트는 가상인간을 활용한 ‘AI 휴먼’ 영상 제작 솔루션 등을 출시했다.

AI 반도체인 그래픽처리장치(GPU)와 전력설비 수요 확대에 하드웨어 관련 종목의 주가가 큰 폭 상승하자, AI 소프트웨어 업체들도 키를 맞추며 주가 상승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특히 글로벌 IT 업체들의 신규 AI 모델 공개가 호재로 작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오픈AI는 이달 새로운 AI 모델인 ‘GPT-4o’를 선보였는데, 해당 모델은 음성을 통해 대화를 주고받으며 정보를 제공하는 게 특징이다. 구글도 구글 검색 엔진이 등장한 이후 25년 만에 생성형 AI를 정식 탑재한 검색 엔진 서비스를 출시했다. 특히 이들 서비스는 속도가 빨라지고 성능이 크게 개선되는 등 소비자들의 기대를 충족하며 AI 관련 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으로 이어지고 있다.

◇“아직 상승 재료 남았다”…관심 둘 이벤트는

이번 주에 예정된 주요 행사와 기업 실적 발표가 소프트웨어 업체들의 추가 주가 상승 재료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오는 21일에는 ‘AI 서울 정상회의’가 개최되는데 오픈AI, 구글 등이 참여해 AI와 관련한 논의를 통해 주요 내용이 발표될 예정이다.

또 최근 정보통신(IT) 전문 매체인 테크크런치가 마이크로소프트(MS)가 자체 개발한 AI 반도체 ‘코발트 100’ 출시 발표를 이번 주에 진행할 수 있다고 보도한 점도 주시해야 할 이슈다. 아울러 MS가 이달 개최되는 개발자콘퍼런스 ‘빌드’에서 AI PC 비전을 공개할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특히 오는 22일(현지시간) AI 반도체 대장주인 엔비디아의 1분기 실적 발표가 주가 등락의 핵심 변수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강재현 SK증권 연구원은 “지난주 오픈AI가 GPT-4o를 기습 신규 공개하는 등 AI 관련 이벤트가 많았다”며 “엔비디아의 실적 영향력이 가장 클 수밖에 없기에 제한된 주가 흐름이 나오게 될 가능성도 있지만 반도체와 생성형AI 관련주 투자자 입장에선 꼭 확인해야 할 이벤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내달 애플이 오픈AI 등과 협업을 토대로 AI 전략을 발표할 가능성이 점쳐지는 것도 관심을 일으킬 이벤트로 꼽힌다. 안소은 KB증권 연구원은 “6월 개발자회의에서 AI 전략 공개를 예고한 가운데 오픈AI 및 구글과의 파트너십 관련 보도가 나오면서 애플의 AI 기술 활용에 대한 시장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