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삼성전자-하만·LG전자-ZKW..“인수성과 내기 어렵네”

김종호 기자I 2020.08.05 16:51:30

전장 사업 강화 위해 나란히 전장 업체 인수
수익성 제자리..코로나19 변수로 부진 심화
미래 먹거리 기대는 여전.."사업 효율화 필요"

[이데일리 김종호 기자] 삼성전자(005930)LG전자(066570)가 차량용 전장(전자장비) 사업 강화를 위해 각각 인수한 하만(Harman)과 ZKW의 수익성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등 변수로 전 세계 완성차 시장이 침체된데다 인수 이후 뚜렷한 시너지 효과를 내지 못하면서 수익성이 게선되지 못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미래를 내다보고 이들 기업을 인수한 만큼 장기적 관점에서 인수 성과를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인수 이후 수익성 제자리..올 들어 부진 심화

5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하만은 지난 2분기 매출 1조5400억원, 영업손실 900억원을 기록했다. 앞서 1분기(영업손실 1900억원)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적자를 이어간 것이다. 1분기보다 적자폭은 줄였으나 매출이 전년 동기(2조5200억원) 대비 40% 가까이 급감했다. 하만의 매출이 1조원대로 떨어진 것은 2018년 1분기(1조9400억원) 이후 약 2년여 만이다.

하만은 삼성전자가 전장 사업 강화를 위해 2016년 국내 기업 인수·합병(M&A) 사상 최대액인 약 9조4000억원에 인수한 기업이다. 당시 등기이사에 오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직접 인수 과정을 진두지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삼성전자는 전장부품 사업에 강점을 가진 하만을 품고 자사 전장 사업과의 시너지를 통해 전기차와 자율차 등 미래차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하지만 하만 인수가 4년 차를 맞은 상황에서 수익성은 제자리다. 2017년 7조원대에 머물던 매출이 지난해 처음 10조원을 넘는 등 매출은 늘었으나 경쟁 심화에 따른 수익성 악화로 영업이익은 인수 이전인 2016년 8500억원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올해 들어서는 코로나19 확산이라는 변수로 완성차 시장이 침체하자 상반기 적자만 2800억원을 냈다. 전장과 오디오 사업 모두 유럽, 중국 업체와의 경쟁이 심화하고 있다. 자칫 하반기 반등에 실패할 경우 연간 적자 가능성도 예상된다.

LG전자 역시 2018년 전장 사업 확대를 위해 오스트리아 자동차 램프 제조사인 ZKW를 그룹 사상 최대 금액인 약 1조4440억원에 인수했으나 여전히 관련 사업에서 적자행진이다. LG전자에서 전장사업을 담당하는 VS사업본부는 ZKW의 실적이 온전히 반영된 지난해 매출 5조4654억원, 영업손실 1949억원을 기록했다. 올 2분기에도 영업적자가 2025억원으로 1분기(968억원)보다 두 배 이상 확대됐다. 기존 자사 전기차 부품 사업 부진에 더해 ZKW의 램프사업 매출 감소가 맞물리면서 애초 목표였던 올해 흑자전환이 멀어졌다. ZKW의 개별 매출도 2017년 1조4400억원, 2018년 1조7000억원, 2019년 1조6500억원 등 큰 개선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2019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IT 박람회 ‘CES 2019’에서 자회사 하만과 공동으로 선보인 차량용 디지털 계기판인 ‘디지털 콕핏 2019’. (사진=삼성전자)
업황 회복 기대는 여전..사업 효율화 등 필요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전장 업체가 인수 이후 뚜렷한 수익 개선을 이루지 못하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장기적으로는 미래차 시장 확대에 따라 이들 업체의 수익성도 차츰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존 사업과 더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향으로 사업 전략 등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전장 사업을 두고 업계 경쟁이 한층 치열해지면서 제품 가격 하락이 심화하는 등 불확실성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하반기 완성차 업황 회복과 소비자용 오디오 판매 확대 등으로 하만의 실적 개선을 예상했다. 하지만 전장은 물론 오디오 시장에서도 경쟁이 심화하면서 수익성 개선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여전히 삼성전자와 중복되는 오디오 사업 등에 대한 추가적인 정리 작업은 물론 사업 간 시너지를 위한 업무 효율화 작업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LG전자도 올 하반기부터 완성차 시황 개선을 기대하고 내년 흑자전환 목표를 다시 내걸었으나 업계에서는 회의적인 반응이다. 앞서 ZKW가 올 초 LG전자의 차량용 후미등 사업을 인수하는 등 사업 정리가 이뤄졌지만 램프 사업 규모가 크지 않은 만큼 관련 사업 노하우를 기반으로 한 신사업 모델 발굴이 절실하다는 평가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상반기에는 코로나19 확산이라는 변수로 완성차 시장이 부진하면서 전장 업체 수익도 크게 줄었다. 특히 하만과 ZKW는 일회성 투자 비용을 반영하면서 영향을 받았다”며 “유럽 등을 중심으로 전기차 및 자율차 확산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여전히 유효한 상황에서 중복 사업 정리와 시너지를 위한 사업 재편 등이 지속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가 2018년 인수한 전장 부품 업체 ZKW의 한 공장에서 직원들이 제품을 테스트하고 있다. (사진=LG전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