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윤석헌 원장 후임 누가오나…뒤숭숭한 금감원

장순원 기자I 2021.05.03 19:20:00

윤 원장 임기 7일 끝‥연임가능성 크지 않아
후임도 안갯속‥원장 대행체제 가동할 듯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출처:금감원)
[이데일리 장순원 기자] 금융계의 검찰로 불리는 금융감독원 내부에서 뒤숭숭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윤석헌 금융감독원장 임기가 곧 끝나지만 후임이 정해지지 않으면서다. 자칫 금감원장 자리가 보은인사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불안감마저 감지된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윤 원장은 오는 7일 3년 임기를 마친다. 금감원장은 금융위원회의 의결과 금융위원장의 제청을 바탕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는 자리다. 통상 지금쯤 후보가 이미 결정돼 안팎으로 얘기가 흘러나오는 경우가 많다. 윤 원장은 올 초만해도 연임설이 나왔지만, 금감원 노조가 반대하며 가능성은 높지 않은 상황이다. 윤 원장의 연임이 아니라면 후임이 나와야하는데 하마평만 무성할 뿐 뚜렷한 소식이 없다.

금감원 안팎에서는 당분간 원장 자리를 비워두고 김근익 수석부원장이 원장 대행 체재로 운영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앞서 최흥식 전 원장과 김기식 전 원장이 갑작스레 물러나면서 유광렬 전 수석부원장이 대행을 맡았던 전례도 있다.

금감원장 인선이 늦어지는 이유는 개각이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총리와 경제부처를 중심으로 다수의 장관을 교체가 이뤄지는 과정에서 금감원장 인사가 뒤로 밀렸다는 것이다. 특히 김부겸 총리 후보자가 인사청문회를 거쳐 취임한 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포함한 경제라인의 교체가 뒤따를 것이란 전망이 많다. 이렇게 되면 경제부총리와 금융위원회 위원장을 포함해 장관급의 연쇄이동이 불가피하고 검찰총장 임명도 앞두고 있다. 인사검증을 맡은 청와대 입장에서는 금감원장 인사는 우선순위가 아니라는 것이다.

여건도 좋지 않다. 문재인 정부의 잔여 임기를 고려하면 새 원장의 임기는 길어봐야 1년이다. 이번에 금감원장을 맡으면 차기정부에서 다음 자리를 기약할 수 없다. 한때 금감원장 후보로 오르내렸던 정은보 한미 방위비분담금 협상대사와 김용범 전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차기 금융위원장 혹은 국무조정실장 발탁 가능성이 큰 분위기다.

비관료 출신 금감원장 기조가 유지된다면 민간 출신으로 김은경 금감원 금융소비자보호처장, 정재욱 전 KDB생명 사장을 포함한 교수 출신도 거론되지만 노조의 반대가 변수다.

금감원 안팎에서는 이런 환경에서 적임자를 찾지 못해 대행 체재가 생각보다 오래가거나, 정치권이나 친정권 인사가 자리를 꿰찰 수 있다는 걱정도 나오고 있다. 대형 체제는 현상유지는 가능하지만 굵직한 의사결정이 어렵다. 정치권이나 친정부 인사가 수장이 되면 외풍에 휩쓸리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청와대에서는 개각과 정치권의 반응 등을 고려하며 차기 금감원장을 임명할 것”이라면서 “임기말 챙겨야 할 사람이 많은데 자리는 한정돼 고민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