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2027세계대학경기대회 준비에 비상 걸린 충청…관련시설 건립 '속도전'

박진환 기자I 2022.11.16 18:49:29

2027년 8월1~12일 충청권 4개 시도에 150개국 1.5만명 방문
총사업비 5812억 규모로 국비 30% 제외 각 시도가 분담해야
대전·세종은 종합경기장 및 선수촌 등 대형스포츠시설 건립
대전시, 서남부스포츠타운조성…행정절차·재원마련등 난관

국제대학스포츠연맹(FISU)이 12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가진 집행위원회 투표를 통해 2027년 대회 개최지로 대한민국 충청권을 확정 발표한 가운데 이장우 대전시장(왼쪽 3번째) 등 충청권 시도지사가 환호하고 있다.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세종=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대전시와 세종시, 충남도, 충북도 등 충청권 4개 시·도가 2027년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옛 유니버시아드 대회) 개최지로 확정됨에 따라 지역 내 스포츠 인프라 구축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대전과 세종은 메인경기장과 주요 종목 경기장, 선수촌 등을 2027년 8월 전까지 건립해야 하는 등 빠듯한 일정에 속도전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또 당초 정부와 국제대학스포츠연맹(FISU) 집행위원회에 제시했던 사업비 보다 훨씬 더 많은 비용이 들어갈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시와 세종시 등에 따르면 2027년 유니버시아드 대회는 8월 1일부터 12일간 4개 시·도에서 열린다. 참가 인원은 전 세계 150여개국에서 1만 5000여명이 참가한다. 양궁과 기계체조, 육상, 농구, 다이빙, 펜싱, 유도, 리듬체조, 경영, 탁구, 태권도, 테니스, 배구, 수구, 배드민턴 등 15개 기본 종목을 비롯해 최대 18개 종목의 경기가 4개 시·도에서 동시에 진행된다. 충청권 4개 시·도는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한다는 계획이지만 새롭게 건설해야 하는 대형 체육 시설도 상당하다. 4개 시·도가 계획한 총사업비는 5812억원으로 이 중 30%인 1744억원을 국비 지원으로 나머지는 각 시·도가 분담하거나 입장료 수입 등을 통해 충당하기로 했다.

우선 개회식과 폐회식을 개최하는 대전시와 세종시는 종합경기장을 새로 지어야 한다. 대전의 경우 기존의 종합경기장인 한밭종합운동장이 올해 초 철거됐다. 이에 따라 대전시는 2027년 6월까지 서남부권에 종합스포츠타운을 조성해 주 경기장과 다목적체육관 등의 시설을 건립한다는 계획이다. 당초 2029년 준공 목표였던 다목적 체육관도 대회 개막에 맞춰 2027년까지 건립하는 것으로 계획을 변경했다. 서남부 스포트타운은 복합개발방식으로 스포츠 시설과 함께 대규모 공동주택을 건립해 사업비를 충당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사업시행자는 대전도시공사가 맡기로 했다.

그러나 현재 이 부지는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으로 해제 절차가 선행되야 한다. 또 정부 중앙투자심사와 타당성 조사 등의 행정절차도 남아있어 재원확보와 함께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세종시 역시 종합운동장과 체육관 등의 스포츠 시설은 물론 1만 5000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규모 선수촌도 조성해야 한다. 대전시와 세종시 등 충청권 지자체들이 건립에 속도를 내겠다는 입장이지만 빠듯한 일정을 고려하면 플랜B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더하고 있다. 이에 대해 대전시 관계자는 “대회 일정에 맞춰 서남부 스포츠타운을 개발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다만 그간 지지부진했던 이 사업이 세계대학경기대회 유치로 그린벨트 해제 등 정부 차원의 지원 및 규제 완화에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안다”며 “혹시 사업에 차질이 빚어져도 개회식 장소로는 대전월드컵경기장도 있어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