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美 '中 커넥티드카' 규제 예고…韓업계 "SDV전략 수정 불가피" 촉각

박민 기자I 2024.05.16 17:01:37

美 상무부, 올해 가을 규제 발표 예고
규제 수위 따라 현대차·기아에도 불똥
불명확한 규제안, 국내업체에 혼란야기
“민관 협력해 불이익 없도록 요구해야”

[이데일리 박민 기자] 미국이 중국산 전기차에 100% 관세를 물리려는데 이어 커넥티트카까지 까다롭게 들여다보기로 하면서 현대자동차와 기아 등 국내 완성차 업체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번 미국의 제재가 전기차와 자율주행차를 위시해 미래차 공세를 가하고 있는 중국 업체에 제동을 걸며 우리 기업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지만, 그 규제 수위에 따라 자칫 불똥으로도 튈 수 있기 때문이다.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 기능을 지원하는 현대차의 코나 일렉트릭.(사진=현대차)
16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자국 내 소비자 정보 유출에 따른 국가안보 우려가 제기된 중국산 커넥티드 차량 관련 규정을 올해 가을 발표할 예정이다. 커넥티드 차량은 무선 네트워크로 주변과 정보를 주고받으며 자율주행이나 운전자 보조 시스템 등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카’를 일컫는다. 내비게이션이나 무선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차량 모두 이 범주에 들어간다.

아직 구체적인 방향은 나오지 않았지만 커넥티드 차량에 대한 정의와 규제에 따라 국내 업체에 이익이 될 수도 있고, 반대로 피해로 번질 수도 있다는 게 업계의 공통된 전망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커넥티드 차량이라는게 범위가 광범위해 어느 선까지 규제를 할 것인지에 따라 국내 기업에 유불리가 나뉠 것”이라며 “특히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의 합작품인 카넥티드카 범위와 제제 수위를 어떻게 하느냐를 놓고도 논란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예컨대 우리기업이 글로벌 표준화를 위한 커넥티드카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중국기업과 공동으로 기술을 개발했고, 향후 미국에 수출하는 차량에 해당 기술을 접목할 경우 제재 대상이 되는지 여부 등이다.

이에 우리 정부도 지난달 30일 미국 상무부에 제출한 의견서에서 “미국 정부가 향후 조사와 규칙 제정 과정에서 △커넥티드 차량에 대한 세밀한 정의를 내려줄 것 △커넥티드 차량 조사와 후속 조치를 ‘국가 안보에 중대한 위험’이 되는 부품과 서비스에 집중할 것 △새로운 규제 시행에 앞서 업계가 공급망을 점검하고 재편할 시간을 충분히 줄 것” 등을 요청하기도 했다.

당장 ‘오는 2025년까지 모든 차종을 소프트웨어 중심의 차량(SDV)로 전환하겠다’는 목표 아래 미래차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는 현대차·기아의 글로벌 전략에도 수정이 불가피해질 수 있다. SDV는 말 그대로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차량 내 각종 장치를 관리·제어하고 주행 성능과 편의 기능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는 차량으로 ‘커넥티드카’도 내포하는 개념이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이러한 SDV를 통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목표점이 SDx(Software-defined everything)다. SDx는 사람과 디바이스, 도시 인프라가 연결된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로서 움직이는 모든 이동 솔루션과 서비스가 자동화·자율화되고 끊김없이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차그룹은 이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각자의 필요와 목적에 따라 가장 최적화되고 자유로운 이동을 경험하겠다는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이러한 중장기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 중 하나로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에서 현지 기업과의 협업도 강화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중국 빅테크기업인 바이두와 ‘커넥티드카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도 맺은 바 있다.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커넥티드카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물론 미래 신사업 발굴과 신기술 개발에도 나서기로 한 것이다.

하지만 앞으로 미국이 발표할 예정인 중국산 커넥티드카 제제 수위에 따라 현대차의 이러한 협업 전략도 다시 짜야 하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다. 실제로 현대차·기아는 지난 2010년부터 바이두와 협업해오며 그간 통신형 내비게이션을 비롯해 음성인식 서비스, 카투홈·홈투카, 스마트 콘텐츠 서비스 등 바이두와 공동개발한 다양한 커넥티비티 시스템도 글로벌 양산차에 적용해 왔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이 우려하는 부분은 미국 운전자의 정보가 중국으로 넘어가는 것”이라며 “이와 관련된 중국산 센서, 데이터 장비, 소프트웨어 등이 규제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고, 중국기업과 함께 개발했더라도 원천기술 권리가 현대차·기아에 있다면 제제 가능성이 낮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다만 규제안이 명확하게 마련되지 않을 경우 혼란이 불가피한 만큼 민관이 협력해 미 정부에 구체적인 규제안을 요청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美中 관세전쟁

- 머스크, "바이든의 중국산 전기차 관세 100%에 놀랐다…반대" - 美, 대중 폭탄관세 8월 시작…태양광 웃는데, 철강은 미지근 - 일론머스크 “中 전기차에 대한 관세 부과, 지지하지 않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