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시대]석탄보다 신재생..에너지업계 희비 엇갈린다

성문재 기자I 2017.05.10 10:41:07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자택을 떠나며 시민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신태현 기자
[이데일리 성문재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제19대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신재생에너지 업계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미세먼지 배출량이 많은 석탄 화력발전 규모를 축소하는 대신 신재생에너지 활용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작년 최악의 한해를 보낸 조선과 해운업계도 문 대통령의 지원 약속에 한가닥 희망을 걸고 있다.

반면 경유세 인상 가능성이 짙어지면서 정유업계는 바짝 긴장하고 있고 석탄 화력발전 사업자들은 현재 진행중인 사업이 좌초될까 우려하고 있다.

10일 각 업계에 따르면 ‘탈(脫)석탄, 탈원전’을 공약으로 내건 문재인 대통령은 신재생 발전 비중을 작년 3.6%에서 오는 2030년 20%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는 2029년 신재생 발전비중을 11.7%로 늘리겠다던 이전 정부의 목표치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관련 설비 증설이 불가피하다. 작년 7499MW(메가와트)였던 신재생 발전설비는 기존 계획대로라면 3만2890MW로 늘어나지만 문 대통령의 목표치를 채우기 위해서는 5만5325MW까지 확대된다. 증설 규모가 4만7826MW로 종전(2만5391MW)의 2배 가깝게 커지는 셈이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현황 및 기본계획, 문재인 대통령 계획 비교(자료: 유안타증권)
장기적으로 태양광이나 풍력발전이 최대 수혜를 받을 것으로 보이지만 단기적으로는 현재 지어져 있지만 가동률이 낮았던 LNG(액화천연가스)발전소 활용도가 높아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포스코에너지, SK E&S 등 주요 민자발전회사들의 실적에 상당한 힘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가스복합화력 발전소는 그동안 석탄 및 원자력발전소 증설로 수년간 침체기를 겪어왔다. 발전량은 2013년 124.4TWh(테라와트시)에서 작년 115.1TWh로 줄었고 같은 기간 가동률도 20%포인트 떨어져 40%에 그쳤다. 문 대통령은 가스복합화력 발전을 다시 2013년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석탄 화력발전 사업자는 울상이다. 문 대통령이 미세먼지 감축 대책의 일환으로 노후 석탄화력 발전소의 폐쇄는 물론 신규 건설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이다. 미세먼지의 또다른 주범으로 지목받고 있는 경유차도 조기폐차는 물론 경유세 인상을 통한 소비 감소 계획까지 검토중이어서 타격이 불가피해 보인다.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 차원에서 지난 2014년 석탄 화력발전 사업권을 갖고 있던 동부발전당진(현 당진에코파워) 지분 60%를 산업은행과 함께 총 2010억원에 인수한 SK가스(018670)는 산업부 장관의 승인만을 남겨둔 상황에서 발목이 잡혔다. 포스코에너지 역시 2014년 4311억원에 동양파워 지분 100%를 인수해 석탄화력발전 자회사 포스파워를 출범시켰지만 아직 인가 절차를 마무리하지 못한 상황에서 불확실성이 커졌다.

민자 석탄화력발전 사업자 현황(자료: 유안타증권)
정유업계는 문재인 정부가 당장 손볼 것으로 예상되는 유류세 개편과 관련해 긴장하고 있다. 경유에 붙이는 유류세를 인상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휘발유에 붙는 유류세를 인하하는 방안도 함께 논의되고 있는 데다 정유업계가 수출물량을 늘려가고 있는 상황이어서 충분히 대응이 가능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한편 작년 최악의 한해를 보낸 조선·해운업계는 새 정부의 지원을 기대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 3월 조선업 지원과 관련해 “세계 조선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조선산업에 버틸 수 있는 힘을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에는 국내 조선사들의 선박 건조 계약 소식이 잇따르는 등 업황 회복 조짐도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문 대통령은 국가 예산을 활용한 금융 지원을 통해 공공선박 발주를 확대하는 등 조선업 수요를 늘리고 국내 해운사의 국적선 보유를 유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후속 대책이 이어져야 실효성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