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마켓인]아시아나 화물매각 일정 지연…미소 짓는 MBK

허지은 기자I 2024.05.20 17:28:05

실사 2주 가량 밀려…우협 선정 6월 전망
‘막판 참전’ 에어프레미아 컨소 시간 벌어
매각 측, 가능성 높은 1곳 우협 선정 전망

이 기사는 2024년05월20일 16시28분에 마켓인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이데일리 마켓in 허지은 기자] 아시아나항공(020560) 화물사업부 매각 일정이 당초 예상보다 늦어질 전망이다. 지난달 매각 본입찰에 참여한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3곳을 대상으로 한 실사 작업이 2주 가량 밀렸기 때문이다.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이 다음달로 밀릴 가능성이 커지면서 막판 출사표를 던진 에어프레미아-MBK파트너스 컨소시엄에게 유리한 구도가 만들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사진=아시아나항공)
2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부 매각 주관사인 UBS는 최근 실사 기한을 연장했다. 매각 측은 본입찰에 참여한 이스타항공, 에어인천, 에어프레미아 등 LCC 3곳에 대한 실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자금 조달과 사업 이행 계획 등을 꼼꼼히 따지면서 예상보다 검토 기간이 길어진 탓이다.

당초 매각 측은 5월 중 우협 선정을 마치고 6월 말까지 주식매매계약(SPA) 체결, 7월 중 유럽연합(EU)에 결과를 보고할 예정이었다. 현재 EU는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부 매각을 전제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을 조건부 승인한 상태다. 화물사업부 매각이 양 사 기업결합의 전제 조건인 만큼 EU가 원하는 수준의 인수자를 찾기 위해 실사가 길어진 것으로 보인다.

우협 선정이 5월에서 6월로 밀리면서 에어프레미아-MBK파트너스 컨소가 유리한 고지에 올랐다는 평가가 나온다. 에어프레미아는 최대주주 AP홀딩스와 MBK파트너스의 스페셜시츄에이션(SS) 펀드를 활용해 인수전에 뛰어들었다. 타사에 비해 컨소시엄 구성이 다소 늦었는데, 우협 선정 일정이 밀리면서 시간적 여유를 벌었다는 평가다. 화물운송 경험도 있고, 아시아나 화물사업부가 기존에 운영하던 장거리 노선 경험도 풍부하다.

에어프레미아는 본입찰 마감 직전에 MBK파트너스, 메리츠증권과 룩셈부르크 화물항공사 카고룩스 등을 우군으로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MBK파트너스는 18억달러(약 2조1000억원) 규모로 조성된 SS 2호 펀드 자금을 인수 대금으로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자금 여력 면에서 에어프레미아 측이 가장 앞선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이스타항공과 에어인천도 최대주주인 사모펀드(PEF) 운용사와 국내 금융사로 인수금융단을 꾸려 인수에 도전하고 있다. 이스타항공은 최대주주 VIG파트너스가 5000억원 규모로 조성 중인 5호 펀드 자금을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또 우리은행과 NH투자증권을 인수금융 주관사단으로 구성했다. 다만 화물 운송 경험이 전무해 최근에야 화물 항공운항증명(AOC)을 취득한 점이 한계로 지목된다.

에어인천의 경우 최대주주 소시어스PE가 한국투자파트너스 PE본부를 재무적 투자자(FI)로, 인화정공을 전략적 투자자(SI)로 확보했다. 한국투자증권과 신한투자증권도 인수단으로 합류했다. 에어인천은 국내 최초의 화물전문 항공사라는 강점이 있지만, 주노선이 아시아 지역에 국한돼 있어 단거리 항공 운송에 특화됐다는 점이 약점으로 꼽힌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