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BOJ, YCC 석달만에 또 수정…장기금리 1% 넘어도 용인(상보)

방성훈 기자I 2023.10.31 13:23:44

30~31일 통화정책회의, YCC 정책 추가 수정
日국채 10년물 1% 초과해도 어느 정도 허용키로
사실상 긴축 효과…BOJ "시장기능 저하 회피 목적"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일본은행(BOJ)이 31일 금융정책결정회의를 마치고 대표 양적완화 정책인 수익률곡선제어(YCC) 정책을 3개월 만에 또 수정했다. 장기금리인 일본 국채 10년물 금리가 1%를 초과해도 일정 부분 용인하기로 했다.

28일 일본은행(BOJ) 앞을 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사진=AFP)


31일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에 따르면 BOJ는 전날부터 이날까지 이틀 간 진행한 금융정책결정회의를 열고 장기금리 지표인 일본 국채 10년물 금리가 1%를 초과해도 시장 상황에 따라 일정 부분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단기금리를 -0.1%로 동결하고 국채 10년물 금리를 0% 정도로 유도하는 등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의 큰 틀은 유지하기로 했다. 상장지수펀드(ETF) 매입 정책도 변경하지 않았다.

이날 BOJ의 정책 변경은 지난 7월 말 회의에서 YCC 정책을 수정한 지 3개월 만에 이뤄진 것이다. 당시 BOJ는 무제한 국채 매입을 위한 금리 기준을 기존 0.5%에서 1%로 끌어올렸다. 일본 국채 10년물 금리가 0.5%를 초과해도 1%를 넘어서지 않는 한 매입에 나서지 않겠다는 것인데, 이날 이 기준을 0.5%포인트 더 높인 것이다. 사실상 기준금리를 인상한 것과 마찬가지 효과다.

최근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상승하면서 일본 국채 10년물 금리가 꾸준히 상승 압박을 받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일본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날 0.890%까지 치솟은 데 이어, 이날 오전에는 0.955%까지 뛰었다. 2013년 5월 이후 최고 수준으로 무제한 매입 상한인 1%에 바짝 다가선 것이다. 엔화가치 역시 미일 장기금리 격차 확대 우려로 달러당 150엔을 수차례 넘어서는 등 약세를 지속했다.

미일 장기금리 격차를 줄여 변동성이 커진 채권·외환 시장을 진정시키겠다는 게 BOJ의 의도다. BOJ는 이날 정책변경 발표 이후 “통화정책 운영을 유연하게 함으로써 시장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니혼게이자이 역시 시장을 배려하고 투기 세력을 견제하겠다는 취지라고 평가했다. 다만 시장에선 긴축적 통화정책으로 전환하는 신호로 받아들이기엔 다소 약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우에다 가즈오 BOJ 총재는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결정의 세부 사항을 설명할 예정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