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109% 살인물가’ 위기의 아르헨티나…긴급조치 카드 꺼낸다

방성훈 기자I 2023.05.15 14:53:22

15일 긴급 경제대책 발표…페소화 하락 방어 올인
금리인상·IMF 차관협상·무관세 식품 수입 계획 등 담겨
경제장관 29일 中방문…위안화결제 확대·융자 등 논의
FT "10월 대선 앞두고 실패한 국가개입 정책 반복"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살인적인 물가 급등에 시달리고 있는 아르헨티나가 자국 화폐인 페소화의 평가절하를 막기 위해 15일(현지시간) 특단의 조치를 내놓을 예정이다.

아르헨티나 소비자가 3일(현지시간)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의 한 슈퍼마켓에 장을 보고 있다.(사진=AFP)


파이낸셜타임스(FT)는 14일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아르헨티나 정부가 오는 10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페소화 평가절하를 피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면서 15일 긴급 경제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긴급 경제대책에는 기준금리 추가 인상, 국제금융기관 등과 교섭을 통한 외환보유액 확보, 소비 촉진을 위한 신용카드 금리 인하 및 부가가치세 일부 환급 등의 방안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아르헨티나는 현재 살인적인 인플레이션에 시달리고 있다. 4월 물가상승률은 전년 동월대비 109%를 기록해 1991년 이후 20여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에 아르헨티나 중앙은행은 15일 기준금리를 97%로 6%포인트 추가 인상할 예정이다. 시중 자금을 고금리 은행 예금에 묶어 해외로 유출되는 것을 막고 페소화 가치를 지지하겠다는 취지다. 아르헨티나의 기준금리 인상은 올해 들어서만 네 번째로, 앞서 3월에 한 번, 4월에 두 번 금리를 올렸다.

페소화 평가절하 속도를 늦추기 위해 크롤링 페그제를 달러·페소 환율에 적용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크롤링 페그제는 외환당국이 환율을 고정하되 시장상황에 따라 수시로 일정수준 내에서 점진적으로 환율을 변동할 수 있는 제도로, 정부가 페소화 가치 하락을 막기 위해 외환시장에 직접 개입하겠다는 의미다. 지난해 5월 달러당 120페소를 밑돌았던 페소화 가치는 현재 230페소로 두 배 가까이 폭락했다.

아르헨티나는 또 외환보유고 확보를 위해 국제금융기관 등과 다양한 협상을 진행하겠다는 방침이다. 아르헨티나 국민들이 연일 가치가 급락하는 페소화 대신 미국 달러화를 사용하면서, 즉 달러화 수요가 급증해 외환보유고가 바닥났다고 FT는 전했다. 이에 세르지오 마사 경제부 장관은 현재 국제통화기금(IMF)의 차관 지급을 앞당기기 위해 설득에 나섰으며, 오는 29일엔 중국을 방문해 무역거래시 더 많은 위안화 사용 방안 및 융자 등과 관련해 논의할 예정이다. 아르헨티나는 지난달 말 중국과 통화스와프를 체결하고 10억달러 이상 수입품은 위안화로 결제하기로 했다.

아르헨티나의 물가 급등은 과도한 무상복지와 경제 실책으로 정부 재정이 악화한 가운데, 역대 최악 수준의 가뭄으로 주요 곡물 생산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채소의 경우 지난달 평균 20.4% 폭등해 물가 인상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다. 식품을 중심으로 물가가 치솟고 있는 만큼, 아르헨티나는 무관세 식품 수입을 허용하기로 했다. 아르헨티나가 세계 최대 곡물 수출국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례적 조치다. 이외에도 국민들의 소비 촉진을 위해 신용카드 이자율을 낮추고 취약계층엔 현금카드 사용시 부가가치세 일부를 환불해 주는 방안 등이 추진된다.

긴급 경제대책이 효과를 보일지는 불분명하다. IMF의 경우 지난 1년 동안 이미 440억달러(약 59조 원)의 부채를 재조정한 데다 오는 10월 대선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추가 지원에 소극적이다. 경제성장이 기대되는 것도 아니다. 옥스퍼드이코노믹스는 올해 아르헨티나의 국내총생산(GDP)이 1.6%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는데, 이는 남미 주요국 전망 중 최악이다.

IMF에 대규모 빚을 지고 외환보유고까지 바닥난 상황에서 지속불가능한 환율을 지지하는 것은 무모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FT는 “(긴급 대책은) 인플레이션을 낮추거나 경제를 부양하는 데 실패한 강력한 국가 개입 정책을 반복하려는 시도”라며 위험성이 크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금리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막대한 양의 국내 부채에 대한 서비스 비용이 점점 더 비싸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