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디지털 CCTV 선보인 최지훈 와치캠 대표 등 3명 이달의 기능한국인

최정훈 기자I 2021.12.13 14:00:00

고용부, 10월·11월·12월 이달의 기능한국인 선정
국내 최초로 디지털 방식 CCTV 선보인 최지훈 와치캠 대표
초정밀 레이저 가공 기술 보유한 김성환 21세기 대표
초콜릿 공예 부분 국제 대회 수상한 최인호 에스제이빵오르방 대표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국내 최초로 디지털 방식의 폐쇄회로(CC)TV를 선보인 최지훈 와치캠 대표와 초정밀 레이저 가공 기술을 보유한 김성환 21세기 대표, 제과제빵기술 전문가인 최인호 에스제이뺑오르방 대표가 10월과 11월, 12월 이달의 기능한국인으로 선정됐다.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폐쇄회로(CC)TV 카메라 제조 및 정보통신 전문가 최지훈 와치캠 대표 등 3명을 올해 10~12월 이달의 기능한국인으로 선정하고 13일 세종청사에서 시상식을 열어 고용부 장관 증서를 수여했다고 밝혔다.

이달의 기능한국인은 기술인의 자긍심을 높이고 숙련기술인이 인정받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고용부와 산업인력공단이 2006년 8월부터 매월 한 명씩 선정하고 있다. 직업계 학교 등을 졸업하고 산업 현장에서 10년 이상 경력이 있는 사람 가운데 사회적으로 성공한 숙련기술인이 대상이다.

최지훈 ㈜와치캠 대표(사진=고용노동부 제공)
10월 이달의 기능한국인으로 선정된 최지훈 ㈜와치캠 대표는 CCTV 카메라 및 CCTV 카메라와 연동되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다. 최 대표는 2010년 와치캠을 창업한 후 1년 만에 아날로그 방식이 전부였던 국내 CCTV 카메라 업계를 제치고 국내 최초로 디지털 방식의 CCTV를 선보였다. 경쟁사들이 27만·41만·51만 화소 제품들을 판매할 때 210만 화소 제품을 출시한 것이다.

또 와치캠은 2014년에는 국내 최초로 UHD 4K 카메라를 출시했고, 산업용 블랙박스를 개발해 미국 등 해외로 수출했다. 2015년에는 CCTV 카메라와 소프트웨어를 연동하는 시스템 구축과 직접 설비를 구축하는 공사업으로도 진출했다.

2017년부터는 사내에 교육장을 만들어 ‘정보통신마이스터교육’을 통해 공사업으로 진출하면서 얻은 노하우를 1200여 개 업체, 1700여 명에게 재능기부를 하고 있고 정보통신 분야 전문가와 500여 편 이상의 동영상을 제작해 유튜브 채널로 공유하고 있다. 최 대표는 “기능한국인으로서 선정돼 어깨가 더 무거워졌다”며 “그동안 터득한 기술과 노하우를 선후배들과 공유하고 발전시켜, 정보통신산업의 발전에 힘을 보태고 싶다”고 전했다.

김성환 (주)21세기 대표(사진=고용노동부 제공)
11월 이달의 기능한국인으로 선정된 김성환 (주)21세기 대표는 초정밀 레이저 가공 기술을 보유한 숙련기술자로, 자동차와 전기, 전자 생산라인에 필요한 공구를 개발한 전문가다. 김 대표는 수입품 일색이었던 자동차부품 생산라인용 공구 400~500개를 직접 개발해 공구를 국산화하는 데 크게 공헌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후 창업해 자동차분야에서 전기와 전자분야로 넓혀 공구를 만들던 김 대표는 ‘눈에 보이지도 않는 초미세 구멍을 뚫어줄 수 있냐’라는 의뢰를 받고 레이저장비를 활용해 국내에서는 불가능으로 여겼던 가공기술을 개발해 초정밀 레이저 가공기술을 업그레이드하며 선구자 역할을 했다.

특히 김 대표가 개발한 블레이드는 삼성전기, 삼성전자, 삼성LED, 현대케피코 등 국내 대기업과 도시바, 온세미콘, 마이크론, 히타치 등 다국적기업에 수출하고 있다. 김 대표는 “해마다 매출의 15%를 연구개발에 투자해 기술력을 향상시킨 결과, 기능한국인의 영예를 안게 됐다.”라며 “앞으로 전 가공 공정에 인공지능(AI)을 도입해 초정밀 레이저 가공기술 분야의 선두기업으로 자리매김 해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최인호 ㈜에스제이뺑오르방 대표(사진=고용노동부)
12월 이달의 기능한국인으로 선정된 최인호 ㈜에스제이뺑오르방 대표는 2005년 프랑스 리옹에서 개최된 월드페이스트리컵 초콜릿공예 부문에 출전해, 역대 국내 최고 성적으로 입상한 제과제빵기술 전문가다.

최 대표가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이유는 마늘과 도라지 등 우리의 건강한 식재료를 활용한 레시피로 빵을 제조하는 데 있다. 참기름으로 볶아 마늘의 매운맛을 없애고 도라지, 연근, 상황버섯 등이 가진 특유의 향을 없애 맛과 건강 두 가지를 다 잡았다는 평이다. 현재 마늘 성분이 들어간 빵 제조방법 등 7개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최 대표는 학생들을 위한 진로상담 및 세미나 개최, 재소자들의 새로운 삶을 위한 제과·제빵교육 등 재능 나눔도 하고 있다. 최 대표는 “원재료와 제조 방법, 판매에 이르기까지 진정성을 담은 노력 덕분에 여기까지 온 것 같다”며 “기능한국인이라는 이름에 누가 되지 않도록 작은 빵집에서 시작한 초심을 잊지 않고 진정성과 나눔으로 사회에 보탬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안경덕 고용부 장관은 “기능한국인들은 기술과 실력으로 자신만의 삶을 개척한 분들이며, 또 자신들이 가진 경험과 노하우를 후배들과 우리 사회에 나누는 데도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분들”이라며 ”고용노동부는 이러한 기능한국인을 적극 발굴해 격려하는 한편, 이분들이 사회에 더 많이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