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조기개발 성큼...메르스바이러스서 효과 확인

강민구 기자I 2020.04.14 12:00:00

KIST·가톨릭대 공동 연구로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영장류실험서 효과 확인...코로나19 백신 개발에 활용 기대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전 세계에서 새로운 방식의 DNA·RNA 백신들을 연구하지만 임상시험에 성공한 사례가 없습니다. 이번에 개발한 백신은 전통적인 방식을 활용해 안전성을 높였고, 쉽게 단백질을 교체해 동일 바이러스 계열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치료용 백신 개발에 활용하도록 했습니다.”

남재환 가톨릭대 교수는 이같이 새로운 백신 플랫폼 개발 의미를 설명했다.

남재환 가톨릭대 교수 연구팀과 금교창·방은경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사 연구팀은 공동연구로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RNA 기반의 백신 플랫폼을 개발하고, 전 세계에 시급한 백신 개발이 요구되는 코로나19 백신 개발 가능성을 높였다.

공동 연구팀이 개발한 백신 플랫폼.<자료=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팀이 개발한 백신 플랫폼은 RNA를 면역증강제로 활용하고, 이 RNA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화합물과 코로나 바이러스가 숙주에 침투하는 스파이크 단백질로 구성됐다.

단백질 기반 백신은 안전성을 갖췄지만, 항체 생산의 세포에 대한 면역 유도가 약해 균형 잡힌 면역반응을 위해 반드시 안정성 높은 면역증강제를 사용해야 한다.

공동연구진은 가톨릭대 연구팀에서 면역증강제로 개발한 귀뚜라미 마비증세를 유발하는 바이러스의 RNA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진이 개발한 아연 금속을 활용한 RNA 안정제를 혼합한 후, 코로나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과 함께 면역했다.

그 결과 실험 쥐를 대상으로 1회 접종만으로도 치사량 바이러스 공격에 100% 방어 효능을 보였고, 마카큐 원숭이를 이용한 영장류 실험에서도 높은 중화항체를 유도해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NA 면역증강제와 안정제를 함께 면역하면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단백질 기반 백신이나 불활화 백신 등 대부분의 백신 유형에 적용할 수 있다.

금교창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뇌의약연구단장은 “메르스 바이러스에서 효과를 보인 단백질 기반 백신은 동일 계열인 코로나 19의 백신 개발에 신속히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화학분야 국제 학술지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최신호에 게재됐다.

`코로나19` 비상

- 전국 교정 시설 코로나 누적 확진자 1238명…동부구치소 10명 추가 - “담배 피우고 싶어”…코로나 격리 군인, 3층서 탈출하다 추락 - 주 평균 확진자 632명, 거리두기 완화 기대 커졌지만…BTJ열방센터 등 '변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