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40년 감춘 해저도굴 문화재 57점, 국외 유출 전 회수

이정현 기자I 2019.06.13 10:44:50
회수한 유물 모습(사진=문화재청)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전남 신안군 증도 앞바다서 도굴당한 청자 등 문화재가 회수됐다.

문화재청(청장 정재숙) 사범단속반은 대전지방경찰청(청장 황운하) 광역수사대와 공조하여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 앞바다(사적 제274호 신안해저유물 매장해역)에 매장되어 있던 청자접시 등 1980년대에 도굴된 유물을 취득한 후 40년간 은닉해온 A씨를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검거했다. 신안해저유물 57점도 지난달 회수했다.

A씨는 1980년대 전남 신안군 증도면 앞바다에서 잠수부를 고용해 도굴한 신안해저유물을 자신의 집에 오랫동안 감춰둔 혐의다. 최근 경제적 어려움이 있자 신안해저유물을 국외로 반출시킬 계획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압수한 유물 중 청자 구름·용무늬 큰 접시(청자첩화룡문대반), 청자 모란무늬 병(청자양각목단문량이병), 청자 물소모양 연적(청자우형연적) 등은 완벽한 형태를 갖추고 있어 학술적인 가치와 전시·교육 자료로의 활용도가 매우 높다. 뿐만 아니라 중세 동아시아 3국의 문화교류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신안선은 1975년에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도덕도 앞바다에서 처음 발견된 중국 원나라 시대 교역선이다. 1976년부터 1984년까지 9년간 총 11차에 걸친 수중 발굴조사 결과, 중국 경원(현재의 닝보)에서 출항해 일본 하카다와 교토의 토후쿠지로 운항하던 도중 1323년에 침몰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전에 달아두었던 물표인 묵서의 표기로 확인됐다. 신안선이 침몰된 해역은 서해 남부지역의 중요한 연안항로로서 7~8세기 이후 한·중·일 무역품의 종류와 교역로의 연구에도 매우 중요한 길목이었다.

이때 발굴된 유물들은 1320년대에 중국 절강성 지역과 강서성 지역에서 생산되었고, 청자는 용천요계, 백자와 청백자는 경덕진요계로 각각 확인되었다.

도자기류 2만여 점, 석재료 40여 점, 금속류 720여 점, 동전 28톤 등이 발굴되었으며, 출토 도자기의 종류로는 청자, 백자, 흑유자기, 균요계 도자 토기 등이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