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한경연 "기업 자산대비 현금보유비율 감소세"

이진철 기자I 2015.01.20 11:00:09

자산대비 현금보유비율, 2001년 13.2 → 2012년 12.2%
"기업 현금보유 급격히 늘고 있다" 주장 반박

[이데일리 이진철 기자] 최근 기업들이 현금 보유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지만 투자는 기피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기업의 자산대비 현금 보유비율이 10년 전보다 감소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기업현금은 현금 및 현금성자산, 단기금융상품, 단기투자증권을 말한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은 20일 ‘기업현금 분석-2000년대 상장 및 비상장 기업을 대상으로’ 보고서를 통해 “기업의 규모가 커지면 유동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현금도 증가할 수밖에 없다”며 “전체 자산에서 현금이 차지하는 비율을 측정해야만 현금보유 증가여부를 제대로 검증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경연이 자산 300억원(2010년 기준, 소비자물가지수로 연도별 조정) 이상인 상장·비상장 기업 7841개를 대상으로 분석한 기업 자산대비 현금보유비율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를 기점으로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비상장기업의 자산대비 현금보유비율평균은 2001년 13.2%에서 2012년 12.2%로 감소했다. 상장기업의 경우 14.3%에서 13.3%로 낮아졌고, 비상장기업도 12.6%에서 11.8%로 감소했다.

김윤경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외부 자금조달이 어려운 기업의 경우 내부 현금에 의존하는 측면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의 현금 증가는 다국적 기업의 수출호조를 의미하기도 한다”면서 “기업의 현금보유가 증가하게 된 원인과 목적을 제대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기업들이 최근 들어 과도하게 현금보유를 늘리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한경연은 2001년부터 2004년 기간 중 재무데이터를 근거로 기업규모, 성장기회, 배당, 투자규모 등을 감안한 적정 자산대비현금비율(추정 현금비율)을 도출했다.

이를 2005년 이후 실제 자산대비현금비율을 비교한 결과, 2008년 금융위기 전까지 전반기 동안은 추정치와 실제 현금보유비율의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2009년 이후부터는 오히려 실제 현금보유비율이 추정 현금비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 부연구위원은 “기존의 주장과 달리 오히려 최근 들어 기업들이 필요한 현금보유량보다 적은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한경연 제공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