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2017년부터 치매 조기진단 서비스 받는다

김혜미 기자I 2013.11.14 12:00:00

서울대·조선대·삼성서울병원, 뇌지도 구축 등 사업 추진
올해 시범사업 실시..향후 5년간 최대 300억원 지원받아

[이데일리 김혜미 기자] 알츠하이머성 치매 발병 가능성을 미리 인지,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치매 조기진단 서비스’가 오는 2017년부터 실시된다.

이동영 서울대 박사(미래부 제공)
미래창조과학부는 서울대와 조선대, 삼성서울병원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치매 예측을 위한 뇌지도 구축 및 치매 조기진단 방법 확립사업’ 신규과제를 선정하고 관련 연구에 착수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지난 6월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에서 확정된 ‘제 2차 뇌연구촉진 2단계 기본계획’의 후속조치다.

그동안 치매 원인규명이나 치매치료제 개발 등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긴 했으나 치매 전단계에서 조기진단 방법을 확립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치매 조기진단 사업은 자기공명영상촬영(MRI)이나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과 같은 뇌영상장비를 이용해 60대에서 80대까지의 ‘한국인 표준치매 예측 뇌지도’를 구축하고, 혈액 등에 기반한 치매 조기진단 바이오마커를 발굴하는 사업이다. 올해 11월부터 내년 6월까지 시범사업을 진행한 뒤 향후 5년간 250억원에서 300억원을 지원하게 된다.

이번에 선정된 이동영 서울대 박사팀은 한국 노인의 표준 뇌지도와 알츠하이머성 치매 특이 뇌지도를 구축하는 한편 다양한 생물학적 지표와 분석기술을 기반으로 한 알츠하이머성 치매 조기진단 및 예측기술을 개발하게 된다. 표준 뇌지도와 알츠하이머병 뇌지도 구축에는 뇌 구조를 보기 위한 MRI와 알츠하이머병 원인 물질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PET 등 뇌 영상이 활용된다.

대국민 치매 예측 조기진단 서비스는 온라인 등을 통해 2017년부터 시범 실시할 계획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뇌 연구 분야는 인류가 극복해야 할 과학기술의 마지막 영역”이라며 “핵심 원천기술 선점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