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알키미스트 본연구 주관기관에 '고려대·성대·에너지공대' 선정

윤종성 기자I 2024.05.17 11:00:01

산업 판도 바꿀 미래기술 13개 선정·지원
산업부 "도전적 R&D 비중, 5년간 10배 확대"

[이데일리 윤종성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부터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본연구(연 40억원, 5년)를 수행할 주관기관으로 성균관대(노화역전), 고려대(초실감 메타버스 시각화), 한국에너지공대(생체모방 탄소자원화)를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이와 관련, 이날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는 산학연 관계자 1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연구 수행기관 및 유관기업 간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기술교류회가 열렸다.

지난 2022년부터 시작된 알키미스트 프로젝트는 10~20년 후 산업의 판도를 바꿀 미래기술을 3단계 경쟁방식으로 선정·추진하는 사업으로, 현재 △노화역전 △아티피셜 에코푸드(배양육) 등 13개 연구주제를 지원하고 있다.

이들 미래기술은 실패를 용인하는 중장기 사업(과제당 총 7년)으로 추진되고 있지만, 2년간의 본연구만으로 △106억원 민간투자 △28개 멤버십 기업 △창업 등의 성과를 냈다고 산업부는 자평했다.

멤버십 기업은 직접 연구개발(R&D)에 참여하지 않으나, 회비를 납부하고 기술개발 과정을 공유해 향후 연구개발 성과활용을 목표로 하는 기업을 말한다. 이들에게는 지적재산권(IP) 실시권 우선협상권을 부여한다.

오승철 산업부 산업기반실장은 이날 행사에서 “기존 산업의 판도를 바꿀 10대 핵심기술을 개발하는 대형 프로젝트를 포함해 세계 최고 수준의 도전적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 비중을 현재 산업부 R&D의 1% 수준에서 향후 5년간 10%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신규 본연구 3개 과제 주관기관과 휴온스, 디인사이트(Dinsight), 한국전력(015760) 등 대표 멤버십 기업이 상호 협력을 다짐하는 전자협약을 맺었다. 현재 진행 중인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연구주제에 관심 있는 145개 기업을 초청해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기업멤버십 매칭데이’도 함께 진행됐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