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한·중 FTA 본격 발효.. 수출비중 높은 정유·화학 '경쟁력 개선'

성문재 기자I 2015.12.20 13:13:32

중국 수출 많은 정유·화학, 관세 감면 효과 기대
전자, 이미 현지서 생산..車, 관세철폐 대상 제외
철강, 품목별 희비..항공·해운, 물동량 변화 관심

SK이노베이션 울산CLX 전경. SK이노베이션 제공.
[이데일리 성문재 기자]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이 20일 정식 발효됐다. 중국 수출비중이 높은 정유·화학업계에서는 가격 경쟁력이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타나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한·중 FTA의 가장 큰 수혜를 받을 산업군으로 정유·화학업계가 꼽히고 있다. 국내에서 생산한 석유제품의 18%, 석유화학제품의 45%가 중국으로 수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관세 감면 효과가 적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주요 수출 품목인 항공유는 9%에 달하는 관세가 즉시 철폐된다.

그러나 최근 국제 유가 약세가 심화한데다 중국이 생산설비를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어 대(對)중국 수출 전망이 밝지 않다는 것이 변수다.

석유·화학 제품과 함께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스마트폰 등은 정보기술협정(ITA)로 인해 이미 무관세 대상이었다는 점에서 달라지는 점은 없다.

TV, 냉장고, 세탁기 등 가전제품은 수혜 대상이기는 하지만 영향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가전업체 대부분이 중국에 생산시설을 갖추고 현지 공급을 해왔기 때문이다. 국내에서 수출되는 일부 품목만이 관세 인하 효과를 볼 수 있다.

자동차의 경우 승용차가 관세 철폐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관련 효과는 없다. 자동차 부품 역시 중국이 장기간에 걸쳐 개방하는 만큼 당장의 관세 철폐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철강은 품목별로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보인다. 저가 제품을 앞세워 한국 시장을 노크하고 있는 중국이 FTA 발효를 계기로 공략을 강화하면 국내 철강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

다만 냉연강판,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등 현지 공장에 공급되는 중간 제품 수출에서는 한국이 유리한 상황이다.

항공·해운업계의 경우 양국간 교역량 확대로 혜택을 볼 수 있다. 다만 실제 물동량이 얼마나 늘어날 지는 미지수다.

한편 지난달 코트라(KOTRA) 조사 결과 중국 바이어의 81%는 한·중 FTA 발효시 한국제품 수입을 늘리거나 기존 수입선을 한국으로 전환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일 김장수(왼쪽) 주중대사와 왕셔우원(王受文) 중국 상무부 부부장이 이달 20일부터 한·중 FTA 발효를 공식 확정하는 내용의 ‘외교공한’을 교환한 뒤 악수하고 있다. 산업부 제공.
▶ 관련기사 ◀
☞ 中ㆍ베트남ㆍ뉴질랜드 시장 활짝 열렸다…FTA 동시 발효
☞ 한중 FTA, 中企 최대 활용 분야는 '소비재·농식품'
☞ 베트남 바이어 90% "한·베 FTA 따라 한국산 수입 확대"
☞ 정부, FTA 감안 국제입찰 대상금액 확대
☞ 대한상의-관세청, 한·중 FTA 대응 업무협약 체결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