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日 “라인야후, 대주주가 위탁처인 구조가 문제…감독 어려워”

이건엄 기자I 2024.05.15 18:34:44

15일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 기자회견
“안전관리 조치 강화 및 보안 거버넌스 재검토 요구”
“韓정부에 의견 이미 전달…“정중하게 설명할 예정”

[이데일리 마켓in 이건엄 기자]일본 정부가 라인야후 자본관계의 재검토와 관련해 위탁처인 네이버의 관리가 적절하게 이뤄져야 된다는 뜻을 내비쳤다.

(그래픽=이미나 기자)
1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날 라인야후 자본 관계의 재검토 등 행정지도를 내린 것과 관련해 ‘위탁처 관리’가 적절하게 기능하는 형태가 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일본 정부가 밝힌 위탁처는 라인야후로부터 업무를 받아 처리하는 네이버를 뜻한다.

실제 라인야후에 행정지도 처분을 내린 일본 총무성은 네이버가 업무를 위탁받는 회사임과 동시에 공동 대주주인 특성 탓에 제대로 된 관리 및 감독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일본 정부 대변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라인야후 자본관계 재검토와 관련한 질문에 “행정지도 내용은 안전관리 조치 등의 강화와 보안 거버넌스의 재검토 등을 강구하도록 요구한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보안 거버넌스의 재검토에는 다양한 방안이 있을 수 있다”며 “어쨌든 위탁처 관리가 적절하게 기능하는 형태가 되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하야시 장관은 한국 정부의 대응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다만 악화된 한국 내 여론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그는 “한국 정부에 일본 정부의 생각을 이미 전달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한국 정부에 정중하게 설명해나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한편 일본 총무성은 지난 3월 5일과 4월 16일 두 차례에 걸쳐 라인야후에 대해 통신의 비밀보호 및 사이버 보안 확보를 이유로 행정지도를 실시했다. 지난해 11월 네이버 클라우드와 일부 시스템을 공유하는 라인야후가 악성코드 감염으로 개인정보가 유출됐다는 이유에서다.

일본 정부의 행정지시에는 라인야후의 자본 관계 재검토를 포함한 경영 체제 개선 등의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日, 라인 매각 압박

- 尹 “라인야후 문제 관리할 필요” 기시다 “韓기업 일본 투자 촉진 입장” - [속보]尹, 라인 관련 “한일 간 불필요한 현안 되지 않게 관리” - "日 SW 전문가 90만명 부족…네이버 없인 라인 해외사업 어렵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