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정부, 출산·육아 부담 '경단녀' 지원 강화한다

최훈길 기자I 2014.12.25 15:58:30

여가부, 경력단절여성 경제활동 촉진 기본계획 발표

[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정부가 출산, 육아 등의 이유로 일자리를 포기한 ‘경력단절여성(경단녀)’ 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여성가족부(여가부)는 오는 26일 △재직여성의 경력단절 예방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활성화 △보육·돌봄 인프라 강화 △일·가정 양립 환경조성 및 협력체계 구축 등을 담은 ‘제2차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2015~2019)’을 발표한다. 법령에 따라 여가부 장관과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 같은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해야 한다. 1차 기본계획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진행됐다.

이번에 마련한 기본계획은 10대 중점과제, 80개 세부과제로 구성됐다. 이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건강가정지원센터를 통해 재직여성의 일·가정 양립 고충상담, 임신·출산, 자녀양육 관련 생활정보 제공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출산·육아기 비정규직 여성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 시 지원하는 사업주지원금을 인상(첫 6개월간 월30만원→월40만원, 이후 6개월간 월60만원→월80만원)하고 ‘육아휴직 복귀프로그램’을 개발할 계획이다.

정부는 여성인재아카데미 등을 통해 여성임원 후보군 대상 역량교육을 확대해 운영하고, 수료자에 대해서는 여성인재 데이터베이스 등록도 추진한다. ‘경단녀’ 대상 종합적 취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여성새로일하기 센터를 단계적으로 확충하고 사례관리시스템도 도입할 예정이다. 고학력 ‘경단녀’의 채용을 위한 ‘리턴십’을 활성화하며, 맞춤형 전문기술 훈련 및 인턴십 지원을 확대하고, 예비창업 및 창업 후 연구개발(R&D)도 지원하게 된다.

이어 정부는 시간제보육반은 전국으로 확대하고 산업단지·중소기업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공동 직장어린이집을 확충할 계획이다. 아이돌봄 서비스도 시간·지역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여성인재 활용과 양성평등 실천 태스크포스(TF)’를 통해 가족친화경영 성공사례를 발굴하고 남성의 가사·육아 참여를 활성화 하기 위한 캠페인과 프로그램도 지원할 방침이다.

김희정 여가부 장관은 “사회통합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동력으로서 여성 인재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며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활성화되기 위해 여성의 생애주기별 정책이 종합적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