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삼정KPMG “감독 강화로 내부회계관리제도 비적정 받는 기업 증가할 것”

이광수 기자I 2020.12.23 09:09:39

삼정KPMG, ‘한미 내부회계관리제도 비교와 시사점 Vol.2’ 발간

[이데일리 이광수 기자] 국내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상장법인에 대한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시행 첫 해인 지난해 비적정 감사의견을 받은 비중이 2.4% 수준인 가운데, 향후 감사 업무 강화로 비적정 의견을 받는 기업의 비중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삼정KPMG가 23일 발간한 보고서 ‘한미(韓美) 내부회계관리제도 비교와 시사점 Vol.2’에 따르면 미국은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첫 해 15.9%의 기업이 비적정 의견을 받았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였으나 2013년 PCAOB의 감독 강화 이후 비적정 비중이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는 내부회계관리제도 비적정 의견 사유 중 내부통제 설계 미비 등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위한 최소한의 요건이 갖춰지지 않은 ‘범위 제한’이 가장 높은 비중(32.6%)을 차지한 반면, 미국에서는 이 같은 사유로 인한 비적정 사례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회계 인력 및 전문성 부족’(21.2%), ‘정보기술(IT) 통제 미흡’(19.6%), ‘업무 분장 미흡’(12.6%)의 비중이 높았다.

삼정KPMG는 지난해 국내 기업의 ‘범위 제한’ 사유 비중이 전년 대비 10%포인트 증가한 것에 대해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도입에 따른 외부감사인의 업무 강화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했다.

같은 기간 미국에서는 ‘정보기술(IT) 통제 미흡’으로 비적정 의견을 받은 기업이 전년 대비 14.5%포인트 증가했는데, 보고서는 기업경영에 있어 IT시스템 의존도가 높아졌으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의 접근권한 통제나 변경에 대한 모니터링이 미흡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내부회계관리제도 비적정 의견을 유사한 성격으로 분류할 경우 한국 42.8%(138개 중 59개), 미국 54.6%(557개 중 304개)로 양국 모두 재무제표 작성능력 관련 사유가 가장 많았다. 이는 재무보고의 신뢰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므로 우선적으로 개선돼야 한다는게 삼정KMPG의 설명이다.

김유경 삼정KPMG K SOX 전문조직 리더는 “내부회계관리제도의 궁극적 목표는 회사의 재무제표 직접작성능력 강화”라며 “재무정보가 신뢰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정보기술(IT) 일반 통제, 업무분장이나 감사위원회 감독기능과 같은 투명한 통제환경이 기반 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