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머스크, 스타링크로 전쟁 개입…핵전쟁 막으려 통신망 꺼”

김영은 기자I 2023.09.08 09:45:02

CNN, 아이작슨 '머스크 전기' 인용 보도
우크라 드론, 러 함대 공격 직전 스타링크 중단
“머스크, 러 ‘핵무기 대응’ 극도로 우려한 결정”
우크라 “단순 우연 아냐…러 미사일 발사 도운 격”

[이데일리 김영은 기자] 우주개발업체 스페이스X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지난해 우크라이나가 이용하는 스타링크 위성 인터넷을 일시 차단해 전쟁에 개입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핵전쟁으로 확대되는 것을 우려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최고경영자.(사진=AFP)


CNN방송은 7일(현지시간) 작가 월터 아이작슨이 출간할 예정인 머스크 전기 내용 일부를 인용해 “머스크가 지난해 러시아 해군 함대에 대한 우크라이나의 기습 공격을 방해하기 위해 엔지니어들에게 크림반도 해안 근처의 스타링크 위성 통신망을 끄라고 비밀리에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폭발물을 장착한 우크라이나 잠수함 드론이 러시아 함대에 접근했을 때 (통신) 연결이 끊겼고, 잠수함 드론은 (공격에 실패하고) 해변으로 떠내려갔다”고 설명했다.

머스크의 이 같은 결정은 간접적으로 전쟁에 개입한 것으로, 우크라이나의 공격에 대한 러시아의 핵무기 대응을 경계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작슨은 “머스크는 크림반도에 대한 우크라이나의 공격에 러시아가 핵무기로 대응하는 것을 극도로 두려워했다”며 “이는 러시아 고위 관리들과의 대화를 통해 촉발된 것”이라고 썼다.

스타링크는 50개 이상의 국가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페이스X의 글로벌 네트워크다. 이 네트워크는 4000개 이상의 위성으로 구성됐다. 머스크는 지난해 2월 전쟁 발발 직전 우크라이나에 스타링크 위성 단말기를 지원하기로 했고, 이 단말기 덕분에 우크라이나는 휴대전화 통신망과 인터넷 네트워크가 파괴된 상황에서도 계속 전투를 치를 수 있게 됐다.

CNN은 “이런 에피소드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전개되면서 머스크가 처한 독특한 위치를 보여준다”며 “의도했든 그렇지 않았든 그는 미국 관리들이 무시할 수 없는 권력 브로커가 됐다”고 평가했다.

한편 미하일로 포돌랴크 우크라이나 대통령 최고 보좌관은 이날 CNN의 보도에 대해 “머스크의 행위는 단순한 실수 그 이상”이라며 “사실상 머스크가 우크라이나 드론을 막고, 러시아 칼리브르 순항미사일 등이 우크라이나 도시에 발사되도록 허용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