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올림픽 폐막…'뇌물·다스 비리 의혹' MB 檢소환 초읽기

이승현 기자I 2018.02.25 13:29:00

檢, "MB가 뇌물수수 피의자·다스 실소유주" 이미 결론
핵심의혹 수사 사실상 매듭…아들 시형씨 소환 가능성
MB, 前 민정수석 등 변호인 선임해 검찰소환 본격 대비

이명박 전 대통령이 지난 19일 오후 서울 강남구 대치동 사무실에서 나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이승현 기자] 25일 평창 동계올림픽이 막을 내리면서 이명박(77) 전 대통령의 검찰 소환조사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검찰은 다음 달 초로 예상되는 소환을 앞두고 주요 혐의에 대한 막바지 수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 2부(부장 송경호)와 첨단범죄수사부(부장 신봉수)는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상납 의혹 △BBK 투자금 반환 관련 국가기관 동원 및 삼성 뇌물수수 의혹 △다스 비자금 등 차명재산 비리 의혹 등 이 전 대통령의 핵심 의혹 수사를 사실상 매듭지어놓은 상태다.

검찰에 따르면 이 전 대통령 측이 직·간접적으로 받은 국정원 특수활동비는 총 17억 5000만원 가량이다.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이 4억원, 김희중 전 청와대 1부속실장이 1억원, 김진모 전 민정1비서관이 5000만원, 장다사로 전 총무기획관이 10억원의 국정원 특활비를 각각 받은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여기에 김백준 전 기획관은 이 전 대통령이 총 2억원을 박재완 당시 정무수석에게 건네라고 지시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지난 5일 김 전 기획관을 국정원 자금 4억원을 받은 혐의(뇌물수수)로 구속기소하며 이 전 대통령을 ‘주범’으로 공소장에 적시한 상태다. 검찰은 국정원 자금의 사용처와 이 전 대통령의 관여 여부 규명에 집중하고 있다.

실소유주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자동차 부품업체 ‘다스’에 대해선 이 전 대통령 것이라고 결론을 내린 상태다.

검찰은 강경호 다스 사장을 비롯해 차명재산 관리인으로 알려진 이명모 청계재단 사무국장과 이영배 금강(다스 협력업체) 대표 등이 다스는 이 전 대통령이라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또 이 전 대통령이 차명보유한 것으로 의심되는 각종 재산과 관리상황이 기록된 목록과 장부 형태의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더해 검찰은 다스가 회사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조성한 비자금과 경영진이 별도로 만든 비자금을 확인했다. 검찰은 수백억원대로 추정되는 이들 비자금의 정확한 규모와 조성 경위, 사용처 등을 파악하고 있다. 특히 이 전 대통령의 관여 여부가 관심사다.

삼성이 다스의 BBK 상대 소송비용 약 370만달러(45억원 상당)를 대납했다는 혐의도 이 전 대통령에겐 치명적이다. 이학수 전 삼성그룹 부회장은 검찰 조사에서 2009년 김백준 전 기획관 요청으로 다스가 미국 법무법인 ‘에이킨 검’(Akin Gump)에 대한 소송비용을 삼성 측이 대신 지급했다는 취지의 자수서를 냈다. 검찰은 대납행위가 2009년 12월 삼성 비자금 사건으로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을 받은 이건희(76) 삼성그룹 회장에 대한 단독 특별사면의 대가인지 강하게 의심하고 있다.

다스가 이 전 대통령 소유라고 결론 내린 검찰은 대납행위에 대가성이 인정되면 ‘단순뇌물죄’를 적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 청와대문건 불법유출 의혹과 민간인 불법사찰 관련 지시·관여 의혹, 군 댓글수사 축소 관여 의혹 등도 수사대상이다. 뇌물과 다스 경영비리 부분에서 추가 혐의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전 대통령 조사에 앞서 형 이상은(84) 다스 회장과 아들 시형(40)씨 소환도 있을 것으로 알려졌다. 다스와 협력업체에서 시형씨 소유의 회사들에 자금이나 일감을 몰아준 정황이 나타나고 있다. 시형씨에 대한 다스 경영권 승계작업이 진행되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 전 대통령도 검찰 소환에 본격적으로 대비하고 있다. 이 전 대통령은 본인 재임시절 청와대 민정수석과 법무비서관을 각각 지낸 정동기(65·사법연수원 8기)·강훈(64·14기) 변호사 등을 변호인으로 선임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관계자는 이 전 대통령의 소환시기에 대해 “시간을 정해놓고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법조계에선 검찰이 3월 초 이 전 대통령을 소환한 뒤 중순 정도에 수사를 최종 마무리할 것으로 보고 있다.

MB, 뇌물·다스 비리 조사

- MB, 당뇨 등 지병으로 서울대병원 입원 - 이명박 前 대통령, 지병 악화로 병원에 입원..구속 4개월만 - 'MB 특활비 배달' 김백준, 뇌물방조 무죄·국고손실 면소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