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브릿지바이오 “IDMC, ‘BBT-877’ 임상 2상 지속 권고”

김새미 기자I 2024.01.30 08:13:00

제2차 ‘독립적인 자료 모니터링 위원회’ 개최, 효과·안전성 논의
빅파마들의 오토택신 저해 기전 관련 관심도 증가…개발 가속화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브릿지바이오는 독립적인 자료 모니터링 위원회(IDMC)로부터 특발성 폐섬유증(IPF) 치료제 후보물질 ‘BBT-877’의 임상 2상을 지속하도록 권고 받았다고 30일 밝혔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로고 (사진=브릿지바이오)
지난해 10월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된 이번 IDMC는 북미, 유럽, 아시아 지역 등에서 진행 중인 BBT-877 임상 2상의 중간 데이터를 토대로 임상의 지속 여부를 논의하기 위해 열렸다. 이번 회의에선 지난달 20일 기준 환자 57명의 BBT-877 투약에 따른 효과·안전성 데이터가 논의됐다.

단 한 건의 조기 중단 사례없이 집계된 이번 데이터를 토대로, 위원회는 기존 계획대로 BBT-877의 임상 2상을 지속하도록 권고했다. 이에 따라 회사는 오토택신 저해제로서 계열 내 최초로 개발중인 BBT-877의 임상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또한 특발성 폐섬유증 표준치료제인 닌테다닙·피르페니돈과 BBT-877 병용 투여의 안전성과 종합적인 약물 프로파일을 확인해 기술이전 협상 경쟁력을 높일 예정이다.

앞서 회사는 이달 초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JP 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 참석해 글로벌 10위권 빅파마 5곳과 BBT-877 글로벌 기술이전을 위한 사업개발 회의를 진행했다. 후속 미팅을 통해 이번 IDMC의 임상 지속 권고 소식을 전하며 기술이전 협상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정규 브릿지바이오 대표는 “제2차 IDMC를 통해 임상 개발을 지속하도록 권고받은 것은 약물의 안전성을 포함한 종합적인 경쟁력을 방증한 셈”이라며 “폐섬유증 치료 영역에서 오토택신 기전에 대한 글로벌의 높은 관심도를 발판삼아 BBT-877의 개발 가속화는 물론 기술이전 성과를 창출하고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BBT-877은 신규 표적 단백질인 오토택신을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계열 내 최초(First-in-class) 신약 후보물질이다. 지난해 4월 첫 환자 투약 이후 현재까지 71명의 특발성 폐섬유증 환자를 모집해 목표 인원의 약 60%를 달성한 상태다. BBT-877는 2023년 1차 국가신약개발사업의 임상 2상 단계 부문 신규 지원 과제로 선정됐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