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해외IR서 우려 의식했나…이복현 "6월 중 공매도 재개 여부 결정"

김보겸 기자I 2024.05.19 12:00:00

16일 뉴욕IR서 공매도 재개 여부 언급
"기관·외국인·개인과 소통할 기회 준비 중"
부동산PF 부실·ELS 배상 우려도 선 그어

[뉴욕=이데일리 김보겸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 16일(현지시간) “6월 중 공매도 재개 여부를 밝힐 것”이라고 했다. 오는 6월까지 국내 증시 전체 종목에 대한 공매도가 금지된 가운데 재개 여부와 방식 등에 대해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설명한다는 방침이다. 해외투자자들이 공매도가 금지된 한국 증시에 대해 의구심을 가진 만큼, 금융당국이 재개 시점과 관련한 불확실성을 조속히 해소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이복현 원장이 16일(현지시간) 6월 중 공매도 재개 여부를 밝힐 것이라고 했다. (사진=금융감독원)


이 원장은 지난 16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해외 투자설명회(IR)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원장은 “공매도가 전체 시장의 가격 발견 기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정상화해야 한다는 방향성에 대해선 강하게 동의하고 있다”며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고 밸류업을 추진하는 정부와 당국이 공매도 금지 상태를 유지해서는 안 된다는 문제의식에도 공감한다”고 밝혔다.

다만 공매도를 한시적으로 금지한 건 개인투자자들이 지적한 무차입 공매도가 일부 사실로 드러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최근 6개월간 (불법 공매도) 검사에 나선 결과, 수천억원 규모의 무차입 공매도나 규정에서 허용되지 않은 공매도를 적발했다”며 “시장에서 제기한 우려가 현실로 드러나 공매도 제도를 개선하려 노력 중”이라고 했다.

오는 6월까지 공매도를 금지하기로 한 만큼, 그 전에는 재개 여부를 밝힌다는 방침이다. 이 원장은 “기관투자자와 외국인, 국내투자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소통 기회를 준비 중”이라며 “6월 하순이 되기 전 재개 여부와 재개 방침을 밝힐 것”이라고 했다.

이외에도 해외 투자자들이 우려하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문제에도 선을 그었다. 이 원장은 “부동산PF 부실이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되거나 메이저 금융사의 근본적인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확신이 있다”며 “최근 본격적으로 부동산 재구조화 프로그램을 가동해 하반기 내에 재구조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당분간 고금리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부실 사업장은 조속히 정리한다는 방침이다. 그는 “미국과 유럽 부동산은 전체 자산규모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적지만 장기적으로는 손실을 입을 수밖에 없다”면서도 “만기 분산과 상품 투자의 다양성에 비춰 보면 당장 눈에 띄는 리스크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다.

주가연계증권(ELS) 자율배상 방침이 은행주에 악재가 될 것이란 우려에도 반박했다. 이 원장은 “ELS 관련 리스크는 이미 많은 금융사들이 1분기 실적에 반영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해 수익이 작년보다 개선될 것으로 예상돼 투자 대상으로서의 은행·금융지주에 부정적 요소는 아니다”라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