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출토 유물은…보고서 발간

이윤정 기자I 2023.12.29 07:41:20

총 6권 책자 발간
문화유산 지식e음 누리집서 공개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2017년부터 올해까지 실시한 백제 후기 능원과 왕궁에 대한 조사결과를 총 6권의 책자로 발간했다.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1차’발굴조사 보고서에는 2022∼2023년까지의 무령왕릉 남쪽지역 조사내용을 수록했다. 능원 내에서 무령왕릉과 인접한 남쪽 사면 일대가 사비기 초∼조선시대에 걸쳐 이용됐음을 확인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29호분’ 발굴조사 보고서에는 2021년에 실시한 29호분 조사내용을 수록했다. 29호분은 일제강점기에 간단한 조사만 이뤄져 그 존재가 알려진 바 없었다. 하지만 2021년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해 봉분의 실체와 내부 출토 유물 등 관련 정보를 제시할 수 있었다.

‘부여 관북리유적 Ⅶ’ 발굴조사 보고서에는 2018∼2020년까지의 부여 관북리 유적 남쪽 지역 발굴조사 성과를 수록했다. 기존에 확인되지 않았던 관북리 일대의 대지 조성방식을 이해하고, 관북리 일대가 개발된 시점을 살펴볼 수 있다. ‘부여 관북리유적 Ⅷ’ 발굴조사 보고서에는 2021년에 실시한 부여 관북리 유적의 서쪽 지역 발굴조사 성과를 수록했다. 백제∼조선시대 유구 208기를 비롯해 관북리 유적의 서쪽 경계지점으로 볼 수 있는 지형을 제시했다.

‘부여 금강사지 Ⅱ’ 발굴조사 보고서에는 2017∼2022년까지 금강사지 서편 일대의 강당과 강당에 연결된 기다란 건물(회랑지) 일부 구역에 대해 실시한 조사결과를 수록했다. 금강사지의 변천 과정과 운영시기를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유물 분석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익산 미륵사지 -18차’ 발굴조사 보고서에는 2022년에 실시한 미륵사지 중원 목탑지 조사내용을 담았다. 미륵사지 중원 목탑지의 기초시설이 만들어진 과정을 국내외의 여러 사례와 비교·분석할 수 있다.

보고서는 국공립 도서관, 박물관, 연구기관 등에 배포될 예정이다.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 지식e음 누리집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