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건강식품’ 이미지에 ‘훨훨’…‘수출 날개’ 단 K음료

김정유 기자I 2024.05.15 06:45:00

작년 K음료 수출 ‘역대 최대’, 올 1분기도 13%↑
식혜·알로에 등 ‘건강’ 이미지 더해져 수요 확대
팔도 ‘비락식혜’ 수출도 18% 늘어, 무슬림 시장공략
롯데칠성도 수출주력으로 ‘알로에’ 내세워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건강한’ 이미지를 덧입힌 국내 음료가 해외에서 존재감을 나타내고 있다. 국내 음료업계의 지난해 수출이 역대 최대치를 경신한데다 올 1분기 실적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음료업계는 최근 한류의 인기에 더해 식혜, 알로에 등 건강식품 이미지를 내세운 제품들을 중심으로 시장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자료=한국무역협회, 단위:천달러)
15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국내 음료 수출액은 지난해 5억3881만 달러(한화 약 7374억원)로 전년대비 11.9%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올 1분기 수출액도 1억3763만 달러(한화 1884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2.9% 성장했다. 국내 음료 수출액은 2021년(4억5295만 달러), 2022년(4억8165만 달러) 등 최근 꾸준히 성장 중이다.

특히 음료 가운데 식혜의 성장폭이 컸다. 식혜 음료의 지난해 수출액은 171만 달러(한화 23억원)으로 절대적 수치는 작지만 성장률은 32.5%로 가장 높았다. 업계 관계자는 “식혜는 전통음료 중 하나지만 해외에서는 건강음료라는 인식이 강한 편”이라며 “최근 음료 수출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해외에서 건강 음료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면서 식혜, 알로에, 인삼 등 건강한 이미지가 부여된 국내 음료들의 수출이 늘어났다는 분석이다. 최근 2~3년간 급속도로 퍼진 한류의 인기가 함께 더해지면서 식혜 등이 더 많이 알려지고 건강식품이란 인식도 확산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가별로는 중국 수출의 성장폭이 컸다. 지난해 국내 음료의 중국 수출액은 1억7855만 달러로 전년대비 32.4% 늘었다. 중국은 국내 음료의 최대 수입국이기도 하다. 지난해 기준 중국에서 한국음료의 시장점유율은 24%에 달한다. 역시 식혜, 알로에 등의 건강음료가 높은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밖에도 국내 음료의 주요 수출국은 미국(8039만 달러), 베트남(6132만 달러), 홍콩(3188만 달러), 인도네시아(1931만 달러) 등이 있다. 특히 홍콩의 경우 국내 음료 수출액이 전년대비 110%나 늘었다. 이곳에서는 유자차나 매실차 같은 전통 음료 중심으로 인기를 끄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음료업계도 해외시장 개척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비락식혜’를 최근 집중적으로 밀고 있는 팔도의 지난해 음료 수출액도 전년대비 18% 증가했다. 비락식혜의 경우 올 1분기에도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13% 늘었다.

수출용 ‘비락식혜’. (사진=팔도)
팔도는 올해 비락식혜로 동남아 시장을 집중 공략할 방침이다. 또 건강한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해 최근엔 처음으로 당류 ‘제로’(0) 신제품을 출시하는 등 제품군 개발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지난해 비락식혜의 할랄 인증을 마치고 올해부터 인구가 많은 동남아 무슬림 시장을 중심으로 수출국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현지 유통 채널도 단계적으로 확대해 해외 소비자들과의 접점을 늘려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칠성(005300)음료도 현재 주류대비 음료 부문의 비중이 크진 않지만 꾸준히 글로벌 시장 확대를 꾀하는 상황이다. 대표제품은 밀키스, 레쓰비, 알로에 등인데 최근엔 수출 주력제품으로 알로에가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올 1분기 알로에의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5% 늘었다. 올해 주요 수출 전략은 동남아 중심, 그리고 판매채널 확대다.

롯데칠성음료 관계자는 “한인 시장 중심 영업 구조에서 벗어나 각 국가들의 대형 유통채널에 신규 입점하는 등 판매채널 확대를 꾀할 것”이라며 “필리핀 등을 교두보로 지역별 특성과 소비자 수요에 맞춘 제품을 통해 신규 개척 국가도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건강에 초점을 맞춘 식음료 트렌드가 확산하면서 국내 음료들도 각광을 받는 모양새”라며 “한류 콘텐츠를 통해 국내 음료의 인식을 키운만큼 지역 특성을 살린 제품군을 꾸준히 개발해나가는 것이 숙제”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