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유기견은 구제불능이에요”…보호소 가장한 ‘신종펫샵’[댕냥구조대]

박지애 기자I 2024.03.30 09:21:38

무료 유기견 입양 홍보문구에 찾았다가
새끼강아지 구매 권하는 ‘신종펫샵’
“유기견 입양시, 지자체나 동물단체 통해야”

[이데일리 박지애 기자] “그런 애들은 다 문제가 있어서 구제불능이라 못써요.”

신종펫숍의 모습(사진=동물자유연대)
반려견을 입양하기로 마음먹은 A씨는 온라인 상에서 ‘시민들 후원과 봉사자님 도움으로 운영 중입니다’라는 문구로 홍보를 하는 한 보호소를 찾았습니다.

하지만 그 곳 직원은 이 같이 말하며 갑자기 새끼 강아지를 분양하라고 강권했습니다. 유기견 보호소가 아닌 ‘신종 펫숍’이었던 것입니다.

보호소를 가장한 ‘신종펫숍’의 온라인 홍보 모습들(사진=동물자유연대)
◇펫숍 파양견을 ‘유기견’으로 둔갑

‘사지 말고 입양하자’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강아지를 펫숍에서 분양하기 보단 유기견을 입양하려는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온라인상에는 A씨와 같이 유기견을 입양하기 위해 보호소 인줄 알고 찾아갔다가 되려 펫숍에서 강아지를 구매하라고 강권 당한 경우를 호소하는 글들이 늘고 있습니다.

패턴은 이렇습니다. ‘유기견 보호소라고 홍보→파양견이라고 말을 바꾼다→파양견의 문제를 말한다→펫숍의 강아지 구매를 권한다’.

이런식으로 펫숍은 유기견을 자신들이 팔았지만 파양당한 개들로 지칭하며 ‘유기견 보호소’를 가장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피해자들은 “신종펫숍을 가면 교모하게 말장난을 하거나 감정을 자극하는 수법을 사용한다”고 말했습니다.

보호소가 아님에도 거짓 홍보를 하는 펫숍을 발견했다면 지자체에 신고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동물권행동 카라 관계자는 “신종펫숍을 발견했다면 관할 지자체에 ‘보호소가 아닌 펫숍인데 보호소라고 홍보하고 있다’고 민원을 넣길 바란다”며 “그럴 경우 무등록 민간시설로 처벌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유기견 입양, 어디서 하는게 좋을까?

그럼 유기견 입양은 어디서 하는 게 안전할까요?

인터넷 홍보 문구만 보고 찾아가기보단 △지자체 동물보호센터 △동물보호단체가 운영하는 입양센터나 SNS △유기동물 입양 플랫폼 ‘포인핸드’ 등을 활용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서울 강동구 지자체가 운영하는 유기동물보호소인 ‘리본센터’ 홈페이지 모습
만일 사설 동물보호소를 통해 입양을 하게 될 경우 해당 보호소가 지자체에 ‘펫숍’이 아닌 ‘보호소’로 등록이 됐는지 확인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동물단체 관계자는 “현행법 상 사설보호소는 지자체에 신고하도록 되어 있는데 지자체에 신고된 보호소가 맞는지 확인을 하는 것이 좋다”며 “또 유기견을 입양하려는 분은 공식적으로 유기동물 입양 플랫폼인 ‘포인핸드’나 카라, 위액트, 유엄빠 등 동물보호단체 입양 홍보 게시글, SNS 등을 충분히 살펴보시는 것이 좋겠다”고 당부했습니다.

◇펫숍 소비, 왜 안 하는게 좋을까?

화성 불법 개번식장 모습(사진=동물권행동 카라)
신종펫숍은 홍보 수단이 다를 뿐 사실상 기존 펫숍과 동일한 유통 구조를 띄고 있습니다.

다만 유기견 입양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어 가는 사회적 기류를 홍보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죠.

투명하고 작은 유리상자 안에서 주인을 기다리는 작고 귀여운 강아지가 최종 소비자에게 공급되기까지 이면에 드리운 어두운 생산 과정과 유통 구조를 알게 된다면 이를 구매할 소비자는 얼마나 될까요.

지난해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킨 화성의 불법 개번식장은 펫숍의 한 단면일 뿐입니다. 개번식장의 개들은 ‘번식’을 위해 삶을 살다 가치가 상실되면 폐기 처분됩니다.

신종펫숍에서 상품가치를 잃어 생매장된 개들의 모습(사진=동물자유연대)
그렇게 생산된 개들은 경매장에서 펫숍 주인들을 대상으로 1차 유통됩니다. 경매장에서 사들여진 개들은 펫숍에 진열되고, 만일 너무 커버리거나 지속적인 파양으로 상품 가치가 없을경우 이 역시 폐기 처분됩니다.

얼마 전 한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판매 가치가 없는 개들을 생매장해 폐사시킨 펫숍이 발각되기도 했습니다.

이런 현실에도 보호소를 가장한 신종펫숍에 대한 구체적인 제재 방안이 없는 점도 문제입니다.

동물자유연대는 “신종펫숍은 겉으로는 보호소를 가장하며 동물을 위한 공간으로 포장하지만, 실상은 동물의 안위는 뒷전일 뿐 이익 창출이 가장 큰 목적”이라며 “이들은 적극적인 마케팅을 통해 사업의 규모를 키워 갔고, 시민들은 점점 진짜 보호소와 펫숍을 구분하기 어려워졌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법과 제도는 변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만큼 일단은 소비자들이 현명한 선택을 통해 건전한 반려동물 문화를 만들어가보는 건 어떨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