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사설] 선열들께 부끄러운 3·1절 역사왜곡

논설 위원I 2016.03.01 06:00:00
우리 사회의 역사왜곡 움직임이 갈수록 한계를 넘어서고 있다. 기미년 3·1만세운동에 대해서조차 폄훼하는 내용이 인터넷에 여과없이 떠도는 실정이다. 일제에 항거해 민족의 독립을 되찾으려 궐기했던 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조롱거리로 만들고 있는 것이다. 3·1절을 맞아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3·1운동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거나 관련 인물들을 비하하는 내용에 대해 집중 단속에 나서야 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심지어 누리꾼들 가운데서는 3·1운동을 ‘폭동’으로, 독립운동을 ‘테러’로 표현하는 경우도 없지 않다. 독립운동가가 무차별 살상을 일삼는 이슬람국가(IS)의 ‘테러리스트’와 동일한 부류로 취급되는 것은 물론이고, 유관순 열사에 대해서도 마구잡이 조롱과 욕설이 퍼부어지기도 한다. 이런 상황이라면 일제치하 독립운동의 실체가 제대로 평가받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문제는 국경일을 맞을 때마다 이렇게 역사를 곡해하는 그릇된 정보들이 인터넷에 집중적으로 떠돌아다닌다는 사실이다. 일본군에 의한 위안부 강제동원 사실을 부정하는 사례도 발견됐다니, 누군가가 의도적으로 퍼뜨린다고 간주할 수밖에 없다. 이처럼 무책임한 정보에 노출된 청소년들이 어떻게 올바른 역사관을 기를 수 있겠는가. 일반 국민들에게도 우리 역사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심어주게 될 것이다.

그렇다고 애국심이라는 장벽을 내세워 역사적 사건에 대한 학문적인 접근까지 막아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그런 시도가 가능하지도 않다. 학문적 차원의 토론과 다양한 의견 제시는 충분히 보장될 필요가 있지만 명백한 역사적 사실에 대해서조차 타당한 근거도 없이 왜곡하려 드는 것은 누워서 침뱉기나 다름없다. 이미 우리 사회에서 논쟁이 되고 있는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폄하 문제도 마찬가지다.

이념과 학설에 따른 역사 왜곡 움직임은 벌써 심각한 상황에 이른 마당이다. 남한이 한반도 유일 합법정부라는 사실을 부인하는 논란이 그렇고, 6·25 북침설이 또한 그러하다. 북한 주체사상에 은근히 동조하려는 움직임도 엿보인다. 그러나 학문의 자유라는 명분을 앞세워 자라나는 세대들을 현혹하려 들어서는 곤란하다. 다시 3·1절을 맞으며 선열들에게 송구스러울 뿐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