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C+' 준 美 신평사.."韓 사용자들이 홈피 공격"

이재길 기자I 2018.01.25 10:06:13
(사진=AFPBB News)
[이데일리 e뉴스 이재길 기자] 가상화폐에 처음으로 신용등급을 매긴 미국의 신용평가사가 정보를 빼내려는 한국 해커들로부터 사이버 공격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24일(현지시간) 와이스레이팅스는 자신의 홈페이지에 ‘신용등급 발표를 저지하기 위한 한국의 사이버 공격이 실패했다’는 성명을 내고 이같이 전했다.

와이스 레이팅스는 “한국으로부터의 서비스 거부(DoS) 공격을 막아내느라 직원들이 밤을 새웠다”면서 “해커들이 웹사이트에 침입해 자료를 탈취하고 소셜미디어에서 자료를 왜곡했다”고 전했다. 이들은 그 근거로 “한국인들의 SNS(사회연결망서비스)에 ‘와이트레이팅스 홈페이지 서버를 다운시키자’는 글이 다수 올라왔다”는 점을 들었다.

와이스 레이팅스 설립자인 마틴 와이스는 “한국 이용자들이 자신들이 투자한 가상화폐에 부정적 등급이 부여될 것을 우려했다”면서 “이 때문에 우리의 등급 발표를 방해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어젯밤, 아시아에서 10만명이 넘는 방문자들이 우리 홈페이지를 방문했다”면서 “보통 우리 고객들은 미국에 대부분 있기 이는 때문에 매우 특이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와이스 레이팅스는 시가총액 규모가 가장 큰 비트코인에 C+ 등급을 매겼다. 시총 2위인 이더리움에는 B 등급을 줬다.

회사는 “이더리움은 일부 병목현상에도 불구하고 손 쉬운 업그레이드 기술과 더 나은 속도의 덕을 봤다”고 평가했다.

비트코인에 대해서는 “주요한 네트워크 병목현상에 직면해 지연사태가 발생하고 거래 비용이 비싸다”면서 “신속히 소프트웨어 코드를 업그레이드할 즉각적인 메커니즘이 없다”고 지적했다.

와이스 레이팅스는 총 74개의 가상화폐에 등급을 매겼지만 A 등급을 받은 가상화폐는 하나도 없었다. 이더리움과 이오스(EOS)가 B 등급으로 가장 높았다.

와이스 레이팅스는 ‘A’는 ‘엑설런트’(excellent)를, ‘B’는 ‘굿’(good)을, ‘C’는 ‘페어(fair·보통)를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와이스 레이팅스는 위험과 기술 등 총 4개 항목을 적용해 컴퓨터 모델링으로 가상화폐 등급을 평가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