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우크라 난민 355만명 동유럽 수용 한계…독일·프랑스 등 나서 [우크라전쟁 한달]

고준혁 기자I 2022.03.23 19:08:54

국내외 피란민은 인구 4분의 1인 1000만명 추정
EU, 27국서 난민 생활 가능케 조치·12조원 지원
폴란드 몰린 난민 이동 위해 기차·버스·항공 무료

[이데일리 고준혁 기자] 한달째 진행되고 있는 우크라이나 전쟁. 러시아군의 무차별 폭격을 피해 우크라이나를 떠난 난민은 350만명을 넘어서 유럽에서 발생한 난민 사태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 규모다. 다행히도 폴란드 등 우크라이나 인접국가들은 피란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수용시설을 늘리고, 아이들의 교육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점차 이들의 수용 능력도 한계에 달하면서 이들 국가와 세계보건기구(WHO) 등 국제기구들은 다른 국가들에도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

22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난민들이 폴란드 서쪽의 도시 프셰미실에서 동쪽에 있는 수도 바르샤바로 이동하는 기차에 오르고 있다. (사진=AFP)
2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유엔난민기구(UNHCR) 등에 따르면 전쟁 이후 국경 밖으로 이동한 우크라이나인은 약 355만명(21일 기준)이다. 아직 우크라이나를 떠나지 못한 이들을 포함하면 피란길에 오른 사람은 우크라이나 전체 인구의 4분의 1규모인 총 1000만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러시아의 공격이 지속되고 있어 당분간 더 많은 우크라니아인이 국경을 넘을 것으로 관측된다.

최근 유럽의회는 집을 잃은 우크라이나인들을 위해 20년 전 발칸 반도 때 적용했던 법안을 다시 통과시켰다. 전쟁 난민이 비자 등 조건 없이 최소 1년간 27개국에서 살며 일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난민 수용 프로그램을 가동해 경제적, 사회적 약자를 우선시한다는 방침도 밝혔다. 유럽은 또 100억달러(약 12조 1400억원)의 예산을 난민 수용국에 쓰기로 했다. 이 자금은 우크라이나인들에 살 곳과 의약품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난민 아이들이 학교에서 교육받는 데 쓰인다.

유럽의 항공사와 철도, 버스 회사들은 우크라이나인들이 EU 어느 곳에든 갈 수 있도록 무료 표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특히 현재 우크라이나 국경 근처 동유럽 국가에 몰려 있는 난민을 서유럽 국가들로 이동시키는 데 요긴한 조치로 평가된다.

355만명의 난민 중 211만명은 폴란드에, 54만명은 루마니아에 각각 머물고 있다. 이밖에 몰도바(36만명), 헝가리(31만명), 슬로바키아(25만명)로도 난민들은 이동했다. 러시아에도 약 25만명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국외 난민 중 60%가 있는 폴란드의 경우 부상당한 환자들을 치료할 의료시설도 꽉 찬 상황이다.

동유럽 국가들의 난민 수용이 한계치에 이르자 서유럽 국가들도 난민 수용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독일은 동유럽에 몰려 있는 난민을 전역에 균일하게 옮기기 위해 항공기를 더 동원하겠다고 밝혔다. 아날레나 베르보크 독일 외무부 외교부 장관은 “난민을 위해 육로뿐 아니라 항공로를 개척해야 한다”며 “우리는 모든 우크라이나인을 수용해야 한다. 그들은 수천명이 아닌 수백만명이다”라고 강조했다.

프랑스도 최소 10만명이 거주할 수 있는 주택 마련에 착수했다. 이번 전쟁에서 가장 먼저 손을 내민 국가인 오스트리아는 지난 며칠간 몰도바로 탈출한 우크라이나 여성과 어린이들을 항공기로 실어날랐다. 아일랜드도 약 500개의 건물을 확보했다.

한편 우크라이나 전쟁을 기점으로 유럽 사회의 난민 수용과 외국인 이민에 대한 그간의 기조가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WSJ는 짚었다. 2015년 전쟁으로 시리아 난민이 대거 유럽에 이동했을 때 독일 등 서유럽 국가는 수용에 찬성했지만, 동유럽은 반대했다. 그러나 지금은 바로 옆에서 건너온 우크라이나 난민을 동유럽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다.

우크라이나가 시리아처럼 대륙 밖 국가가 아닌 유럽 안에 있단 점은 난민 수용 반대 의견이 제기되지 않는 또 다른 이유로 풀이된다. 프랑스의 민족주의 정치인 마린 르펜과 에릭 제무어는 우크라이나 난민 수용을 지지한다고 밝힌 바 있다. 프랑스의 난민 수용 관련 비영리단체 관계자는 “우리는 분명 이민에 대해 찬반 논란이 치열했던 대통령 선거를 치렀는데, 지금은 기이하게도 모든 것이 바뀐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