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ESF 2021]박성현 신한지주 부사장 "ESG 모델이 금융사 경쟁력 될 것"

조해영 기자I 2021.06.24 17:50:52

2050년까지 투자기업 탄소배출량 '제로' 목표
주주 관심도 높아져…"ESG 이슈에 구체적 질문"
"금융사 ESG, EU보단 느리지만 아시아는 선도"

[이데일리 조해영 기자] 박성현 신한금융지주 부사장은 24일 “앞으로 금융사의 경쟁력은 얼마나 유의미한 ESG 모델을 가졌는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부사장은 24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자본주의 대전환 : ESG노믹스’를 주제로 열린 ‘제12회 이데일리 전략포럼’에 패널로 참석해 “금융기관에 맞는 고유한 ESG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박성현 신한금융지주 부사장이 24일 오후 서울 중구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 12회 이데일리 전략포럼: 자본주의 대전환, ESG노믹스’에서 ‘ESG 돈의 흐름을 바꾸다’란 주제로 토론을 하고 있다. (사진=방인권 기자)
박 부사장은 금융그룹의 ESG 노력을 위기관리와 기회 창출 두 가지 큰 줄기로 설명했다. 이 가운데 위기관리의 첫걸음은 현 상황을 측정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신한금융지주는 오는 2050년까지 ‘넷 제로 뱅킹’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신한금융지주로부터 대출받은 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을 ‘제로(0)’ 수준으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2030년에 38%, 2040년에 70% 수준으로 줄여가야 한다.

그는 “한국에선 넷 제로 뱅킹의 구체적인 수치까지 제시한 데가 별로 없지만, EU(유럽연합) 국가에선 넷 제로 뱅킹이 대세를 이루는 상황”이라며 “한마디로 앞으로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기업은 은행으로부터 자금을 받기가 어려워진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기회 창출을 위해선 선제적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부사장은 “태양광이나 풍력 같은 대규모 친환경 투자 외에도 친환경 산업과 관련해 핵심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을 찾아내 그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금융이 지원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는 업종에 따라 ESG 원칙을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고민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박 부사장은 “모든 기업에서 ESG 이슈를 ‘어떻게 우리 업(業)의 본질에 내재화할까’를 고민하고 적용하는 단계에 들어갔다”며 “과거의 트렌드와는 많이 다르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주주들 역시 ESG 투자와 전략을 향한 관심이 급격하게 높아졌다는 설명이다. 박 부사장은 “지주 차원에서 IR 미팅을 하다 보면 주주들이 ESG 세션을 별도로 요구한다”며 “환경 분야의 리스크는 어떻게 되는지, 젠더 다양성은 어떻게 가져가는지 등 질문 수준이 아주 구체적”이라고 말했다.

박 부사장은 국내 금융사의 ESG 속도가 ‘유럽보다는 느리지만 아시아에선 앞서 나간다’고 평가했다. 그는 “아시아 3국의 ESG 수준을 비교해 보면 10년 전만 해도 일본이 우리보다 앞서 있었지만 한국이 속도가 빨라지면서 금융권에서는 아시아에서 앞서나가는 것 같다”고 말했다.

다만 유럽 수준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정부·국회의 역할과 금융사 간 협력이 필요하다고 꼽았다. 평가기관과 지표가 지나치게 많아 기업 입장에서 혼란을 겪는 데다가 비재무적 정보를 공시하는 과정에서도 자율 공시에 의존하고 있어 자료 활용이 쉽지 않다는 설명이다.

그는 “해외에 비해서 법제화가 더딘 것이 아쉽다”며 “ESG는 사실 데이터가 제일 중요한데 현재는 추정으로 할 수밖에 없는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이어 “상장사협의회나 환경부 등에서 자율공시를 위한 항목 권고라도 해주면 금융기관 입장에선 투자와 대출에 많이 도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제도적 보완뿐 아니라 금융사 간 협력도 필요하다”며 “앞서 나가는 곳이 있는가 하면 아직 감도 못 잡는 곳도 있는데 이러면 국가적으로 탄소중립을 이루기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