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백복인 KT&G 사장 ‘4연임’ 포기…‘새 리더십 찾기’ 방점(종합)

남궁민관 기자I 2024.01.10 19:11:54

올해 KT&G 차기 사장 선임 위한 3개월여 절차 돌입
10일 서류 마감과 함께 백복인 ‘연임 포기’ 의사 이사회에 전달
행동주의 펀드 강공·기관투자자 침묵…업계 "압박 느낀 듯"
매출 증대·해외 사업 성과…수익성·주가 하락 책임론도

[이데일리 남궁민관 기자] KT&G 수장 ‘4연임’ 도전 여부로 업계 관심을 한몸에 받았던 백복인 사장이 연임을 포기했다. 행동주의 펀드의 공식적 반대입장 표명과 국민연금공단 등 기관투자자들의 침묵으로 안갯속으로 치닫는 듯한 차기 사장 선임 절차는 사실상 ‘압박’을 느낀 백 사장의 ‘용퇴’ 결정으로 새로운 리더십을 찾는 데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이다.

백복인 KT&G 사장.(사진=KT&G)
9년 장기집권 마무리 지은 백복인…NGP·해외사업 성과

KT&G(033780)는 차기 사장 후보 심사대상자(숏리스트)를 선정하기 위한 3개월여 간의 작업에 돌입하고 10일 공개 모집 서류 접수를 마무리했다. 관심을 모았던 백 사장은 이날 이사회에 연임에 나서지 않겠다는 뜻을 전달했다.

백 사장은 “KT&G의 ‘글로벌 톱 티어 도약’과 변화를 위해 새로운 리더십이 필요할 때”라며 “미래비전 달성과 글로벌 리딩기업으로 한 차원 더 높은 성장을 이끌 역량 있는 분이 차기 사장으로 선임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지난 2015년부터 9년간 역대 최장 기간 KT&G 수장을 맡아온 백 사장은 전자담배(NGP)와 해외사업에서 주목할만한 성과를 냈다. 지난해 1월 열린 ‘미래비전 선포식’에서 △NGP △해외 궐련 △건강기능식품 등을 3대 핵심사업으로 꼽았다. 이후 세계적 담배회사인 필립모리스인터내셔널(PMI)와 15년간의 장기계약을 끌어냈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3대 핵심사업 집중 육성과 해외 생산혁신 거점 마련을 위해 인도네시아와 카자흐스탄에 신공장 구축 청사진을 내놓고 신탄진 NGP공장을 확장하는 등 선제적 투자 결정을 내리기도 했다.

지난 2022년 연매출은 전년대비 12% 증가한 5조8565억원을 기록해 역대 최대 실적을 이끌어냈고 지난해 3분기 매출도 전년동기대비 4.0% 늘어난 1조6895억원을 달성하며 분기 기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셀프연임’ 논란 못피해…수익성·주가 하락 책임론도

하지만 백 사장도 오너 없이 지분이 분산된 ‘소유분산기업’인 KT, 포스코와 마찬가지로 ‘셀프연임’ 논란을 피하지 못했다.

KT&G는 올해 차기 사장 선임 절차 돌입에 앞서 지난해 말 △현직 사장 우선 심사제 폐지 △공개모집 및 서치펌 추천 등 완전 개방형 공모제 도입 △기존 ‘사장후보추천위원회-이사회’ 2단계 심사에 ‘지배구조위원회’를 1단계 심사로 추가, 총 3단계 절차로 구성하는 등 선제적 대응에 나섰지만 곧장 행동주의 펀드의 공세에 직면해서다.

이상현 플래쉬라이트캐피탈파트너스(FCP) 대표는 연초 입장문을 통해 “지배구조위원회, 사장후보추천위원회, 이사회 등 3단계 기구 모두 백 사장 임기 내 선임된 사외이사로 구성된 사실상 동일한 집단”이라며 “인선자문단이니 외부전문가니 하면서 가장 중요한 최종 후보 선정은 결국 이사회 단독 결정”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수익성 악화, 주가 하락 등 책임론도 적지 않았다. KT&G의 영업이익은 백 사장 취임 이후인 2016년 1조4688억원에서 2022년 1조2676억원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으나 증권가에선 2022년보다 감소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15년 말 10만4500원이었던 KT&G 주가는 지난해 말 9만1500원으로 12.4% 떨어지기도 했다.

이와 관련 KT&G 차기 사장 선임에 열쇠를 쥐었다는 평가를 받았던 국민연금공단 등 기관투자자들은 침묵했지만 백 사장은 이에 심적 압박을 받지 않았겠냐는 분석이 뒤따른다. 실제로 국민연금공단의 경우 KT 차기 대표, 포스코 차기 회장 선임 절차에서 구현모 KT 대표와 최정우 포스코 회장의 연임을 끊는 결정적 역할을 했던 전례가 있어서다.

KT&G 관계자는 “FCP의 공세 등과 무관하게 대승적으로 스스로 판단한 것으로 알고 있다”이라며 “국민연금공단이나 최대주주인 IBK기업은행 역시 연임 포기를 압박한 바 없다”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