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정부 가격인하 압박에 식품업계 “총선 앞둔 정치적 계산” 반발

한전진 기자I 2024.03.13 17:58:13

작년 10월 이후 5개월만 농식품부·식품업계 간담회 개최
정부 “원재료 하락 추세…기업 과도한 이익 추구”
업계 “당장 인하 어려워…제반 비용 상승 및 일정시간 필요”

[이데일리 한전진, 세종= 김은비 기자] 정부가 식품업계에 물가안정 협조를 재차 촉구했다. 최근 곡물 등 국제 원재료 가격이 하락하고 있는데 식료품 물가는 7% 가까이 상승하는 등 고물가가 이어지고 있어서다. 정부는 기업의 과도한 이윤 추구(그리드플레이션)라고 판단해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지만 식품업계는 정부가 원재료 가격 인하만 강조하고 다른 제반비용 상승과 시차는 간과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13일 오후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는 서울 서초구 한국식품산업협회에서 ‘가공식품 물가안정 방안’을 주제로 식품기업 임원들과 비공개 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진=한전진 기자)
식료품 물가지수 6.7% 올라…곡물값지수 2년새 33.1%↓

13일 오후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는 한훈 차관 주재로 서울 서초구 한국식품산업협회에서 ‘가공식품 물가안정 방안’을 주제로 식품기업 임원들과 비공개 간담회를 개최했다.

지난해 10월 이후 5개월 만에 정부와 업계가 간담회를 개최한 이유는 최근 물가 상황이 엄중하다는 판단에서다.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1%를 기록해 한 달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섰다. 가공식품 물가가 좀처럼 잡히지 않으면서 소비자 불만도 커지는 상황이다.

한 차관은 “코스피 상장 식품기업 37개 회사 중 23개 회사의 2023년 영업이익률(연결기준)이 전년대비 개선됐다”며 “소비자 관점에서는 그간 원재료 가격 상승을 이유로 식품 가격을 인상했다면 원재료 가격 하락 시기에는 합리적인 수준에서 식품 가격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과도한 이윤 추구라는 비판이 많다”고 압박 수위를 높였다.

실제로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국제 곡물가격지수는 지난달 113.8(2014~2016년 평균=100)로 정점을 찍었던 2022년 3월(170.1)보다 33.1% 하락했다. 유지류가격지수도 120.9로 2022년 3월(251.8)에 비해 51.9% 떨어졌다.

반면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1~2월 식료품 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6.7% 상승했다. 이는 1~2월 기준으로 2021년(8.3%) 이후 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식품업계 “원재료값 제품에 반영하려면 6개월 필요”

식품업계는 물가안정에 주력하고 있는 정부 입장은 이해하면서도 즉각적인 가격 인하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인건비나 물류비 등 원재료 가격 외의 제반비용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어서다. 또 원재료 가격의 변동을 소비자 가격까지 적용하기에는 일정 기간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 주장이다.

A사 관계자는 “원재료 가격 하락이 소비자가격에 반영되려면 적어도 6개월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며 “원재료가 상승기에 구매한 기존의 원재료 재고를 소진해야 값이 싸진 원재료를 계약해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표현한 ‘과도한’ 영업이익이라는 표현에 대해서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업계가 감내했던 손실분을 고려하지 않은 표현”이라고 일갈했다.

B사 관계자는 “정부의 가격인하 압박은 4월 총선을 앞두고 일종의 정치적 계산이라는 의구심을 지우기 어렵다”며 “가격 인하를 결정해도 그 이후가 되지 않겠나”고 내다봤다.

정부는 이날 간담회에서 업계의 고충도 반영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할당관세 품목 확대가 대표적이다. 할당관세는 특정 수입 물품에 대해 한시적으로 낮은 세율을 적용하는 제도다. 정부는 현재 원당·커피생두·감자·변성전분 등 27개의 식품 원재료에 대해 지난 1월부터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이외에도 업계가 요구하는 품목들을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한 차관은 “최근 가격이 많이 오른 코코아에 대한 업계의 적용 요구가 많은데, 긴급히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밖에도 유업체의 부담 완화를 위해 용도별 차등가격제에 신규로 참여하는 유업체에 대해서도 가공용 원유를 낮은 가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가공용 원유 용도를 치즈용·아이스크림용·분유용 등으로 세분화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또 K농식품 인지도 제고 및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미국·일본· 유럽연합(EU) 27개국 등 총 48개 국가에 ‘케이푸드’(K-Food) 로고 상표권 등록을 완료한 데 이어 올해는 55개국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CJ제일제당(097950), 오뚜기(007310), 농심(004370), 롯데웰푸드(280360) 등 19개 식음료 기업이 참석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