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탄소배출권 반영 등 정책 지원으로 'RE100 추진' 기업 부담 줄여야"

한광범 기자I 2020.07.27 17:03:48

이데일리 ‘한국형 그린뉴딜과 RE100 국회토론회’ 개최
김종필 LG화학 팀장 "선제적으로 제도 정비 필요해"
"美·EU선 RE100 부담 없는데 국내는 제도 미비해"

김종필 LG화학 지속가능팀장이 2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이데일리 한국형 그린뉴딜과 RE100 국회 토론회’에서 ‘기업의 도전과 기회’란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방인권 기자]
[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기업이 재생에너지를 사용했을 때 탄소배출권의 부담을 줄여줘야 한다. 또 석유 기반의 원료를 바이오 원료로 바꿨을 때 기업의 이중고, 삼중고를 줄여주는 정책과 제도가 있어야 한다.”

2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이데일리 ‘한국형 그린뉴딜과 RE100 국회 토론회’에서 김종필 LG화학 지속가능전략팀장은 RE100(100% 재생에너지로 가동)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한 방안을 이같이 제언했다.

앞서 LG화학은 지난 6일 2050년까지 전 세계 사업장을 RE100 도입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2050 탄소 중립 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국내 대기업으로선 RE100 도입을 공식화한 첫 사례였다.

김 팀장은 “재생에너지를 공급받고 싶어도 수요가 얼마큼 있는지와 가격 프리미엄이 결국 판매가에 반영될지에 대한 고민이 있다”며 “탄소 중립성장을 위한 이 같은 과제들이 해결돼야 로드맵을 앞당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LG화학의 해외사업장들의 사례를 전하며, 제도적 보완 필요성을 설명했다. 현재 LG화학은 중국, 미국, 폴란드에 총 25개 해외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다.

김 팀장은 “미국과 폴란드의 경우, 기업 입장에서 산업용 전기나 재생에너지가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큰 차이가 없다”며 “더 나아가선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면 고객사가 판매가에 이를 반영해준다”고 전했다.

김 팀장이 예를 든 대표적 기업이 폭스바겐이다. LG화학으로부터 배터리를 납품받고 있는 폭스바겐은 협력사에 RE100을 의무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지난해부턴 기준점을 통과하지 못하면 공급사에서 배제하는 정책을 쓰고 있다. 이와 함께 RE100을 충족할 땐 이를 판매가에 반영해주고 있다. 반면 중국과 한국에서는 사업장은 이 같은 정책적 지원의 부제로 RE100 추진이 곧바로 가격상승에 따른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김 팀장은 “중국사업장은 구매 경쟁력이 떨어져 많은 고민이 있다”며 “국내도 다양한 제도가 없어서 프리미엄 산정이 어렵다”고 토로했다.

그는 “석유화학 기반 산업은 기본적으로 탄소를 배출할 수밖에 없다. 단계별로 다양한 로드맵을 짜 시뮬레이션을 해봤다”며 “로드맵을 공개하면 천문학적으로 구매액이 늘어난다. 이 때문에 로드맵 공개에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LG화학이 공개한 ‘2050 탄소중립 성장 전략’은 △기후변화 대응 △재생에너지 전환 △자원 선순환 활동 △생태계 보호 △책임 있는 공급망 개발·관리 등 5대 핵심 과제를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특히 세계 모든 사업장에서 재생에너지를 100% 사용해 제품을 만드는 RE100을 올해부터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LG화학은 2050년 전 사업장 탄소 배출량을 4000만톤으로 추정하며 이 중 3000만톤 이상을 RE100을 통해 감축하기로 했다. 이는 내연기관 자동차 1250만대가 1년 동안 배출하는 규모이며, 소나무 20억2000만 그루를 심어야 상쇄할 수 있는 수준이다.

LG화학은 RE100을 통해 2050년 탄소 배출 전망치의 60% 이상을 감축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사업장 배출 폐기물까지 재활용하는 순환경제 시스템을 구축해, 환경 보호 앞장과 사회·경제적 부가가치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겠단 복안이다. 구체적으로 △친환경 재활용 소재(PCR) 제품 적극 개발 △폐배터리 적극 재사용·재활용 △매립 폐기물 제로화 등을 추진된다.

이와 함께 LG화학은 인권·환경 이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지속할 수 있는 공급망 구축에도 나선다. 협력사에 공급망 실사 의무를 적용했을 뿐 아니라 코발트 외 주요 원재료까지 외부 기관을 통해 실사를 확대하고 있다. 최근 세계적 기업이 높은 수준의 공급망 관리를 요구한 데 따른 조치다. LG화학은 지난해 국내 배터리업계 가운데 처음으로 책임 있는 광물 조달과 공급망 관리를 위한 글로벌 협의체 RMI에 가입하기도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