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가구 소득 10% 늘었지만…고물가에 여전히 팍팍한 가계살림

이명철 기자I 2022.05.19 17:23:20

1분기 가구 월평균 소득 482.5만원…전년비 +10.1%
물가요인 제외한 실질소득은 6% 증가에 그쳐
소비지출도 4.7% 늘었지만 실질지출은 +0.8% 불과
2분기 물가 상승 확대…정부 "민생안정대책 조속 마련"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공지유 기자]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이후 이어진 경기 회복세에 힘입어 올해 1분기 가구 소득이 사상 최대폭으로 증가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해제된 지난달 18일 점심시간에 서울시청 인근 거리가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분기 사회적 거리두기 완전 해제 등 긍정적인 요인이 예상되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공급망 차질 등 경제 여건 불확실성은 커졌다. 특히 1분기 실질 소득 증가세를 저해했던 고물가 기조가 더욱 확대된 만큼 가계 살림은 당분간 더 팍팍할 것으로 보인다.

경제 회복세에 가구 소득 역대 최대 증가폭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가계동향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82만50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0.1% 증가했다. 월평균 소득 증가율은 1인가구를 포함한 가계동향 작성을 시작한 2006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올해 1분기 경기 회복세가 두드러지면서 고용이 늘고 서비스업 업황도 개선돼 가구 소득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근로소득은 306만2000원, 사업소득 86만2000원으로 같은 기간 각각 10.2%, 12.4% 늘었다. 재산소득(3만2000원)만 2.0% 감소했다. 외부로부터 지원 받는 이전소득은 78만원으로 7.9% 늘었는데 공적이전(54만4000원), 사적이전(23만6000원) 각각 9.5%, 4.3% 증가했다.

소득 분배여건도 개선됐다. 소득 상위 20%(5분위)의 월평균 소득은 1083만3000원으로 1년 새 11.5% 증가한 사이 하위 20%(1분위)의 월평균 소득은 104만3000원으로 14.6% 증가했다.

1분위의 경우 근로소득이 가장 크게 증가했고, 5분위는 사업소득이 가장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5분위의 경우는 자영업자 비중이 높아 다른 분위에 비해 서비스 업황이 전년에 비해 좋아진 측면이 반영됐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가구원수별 처분가능소득(소득-비소비지출)을 기준으로 한 균등화 1분위대비 5분위 배율은 6.20배로 같은 기간 0.10배포인트 낮아졌다. 소득의 격차가 다소 줄었다는 의미다. 근로·사업소득 등 시장소득이 늘면서 이를 기준으로 한 균등화 5분위 배율은 지난해 1분기 16.20배에서 올해 1분기 14.81배로 1.39배포인트 개선됐다.

정부 “소득·분배지표 개선세 지속 불확실”

역대 최대 규모 소득 증가세에도 웃지 못한 이유는 물가 상승세 때문이다. 실제 물가 요인을 제거한 실질소득은 전년동기대비 6.0% 증가해 명목소득 증가율(10.1%)에 크게 못 미쳤다. 물가 상승세가 임금 상승분을 상당 부분 감축시킨 것이다.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53만10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4.7% 증가했는데, 물가 요인을 제외한 실질소비 지출은 0.8% 증가에 그쳤다. 늘어난 소비 지출 금액 대부분이 물가 상승에 기인한 것으로 소비가 반등했다고 보긴 어렵다는 의미다.

문제는 최근 들어 물가 상승폭이 더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4.8% 올라 2008년 10월(4.8%) 이후 13년 6개월 만에 최고 상승폭을 기록했다.

물가가 오를수록 근로·사업소득 상승세는 상쇄되고 소비 지출 부담이 커지게 된다. 소비자물가 부담은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고 식료품 등 지출 비중이 큰 저소득층에 더 부담이 되는 만큼 분배 지표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판단이다.

정부도 현재 우리 경제 엄중한 상황을 감안할 때 가계동향 소득과 분배지표 개선세가 지속될 지 불확실하다고 평가했다. 앞으로는 민간 일자리 창출, 선별적 지원 강화 등에 대응할 방침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물가 상승에 따른 실질 가계부담 증가를 완화하기 위해 2차 추가경정예산 내 생활물가 안정 지원 방안을 준비하는데 만전을 기하고 관계부처 논의를 거쳐 민생 안정대책을 조속히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