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실적악화' 흐름, 계속간다…기업들 '투자계획 전면유보' 가능성

이다원 기자I 2022.06.22 18:22:35

반도체·디스플레이·화학 등 핵심 업종 전망 '뚝'
가전, '수요 폭발' 전분기 대비 영업익 -52.8%
원자재값↑… 화학업종, 적자 전환 속출할 듯
실적악화 막으려…기업들 생산감축카드 '만지작'
전문가들 "재고 누적 불가피…하반기도 우울"

[이데일리 이다원 김상윤 기자] 올해 2분기 비용 급증·수요 감소라는 ‘이중고’ 속에 기업들의 실적이 주저앉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면서 이 같은 흐름이 올 하반기까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커지고 있다. 기업들은 어떻게든 실적 악화 흐름을 끊고자 부품 구매 중단을 통해 생산량을 감축하는 한편, 올해 투자계획까지 유보하고 나섰다. 그러나 전문가들 사이에선 올 하반기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에 내몰릴 기업들도 수두룩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만만찮다.

서울의 한 LG전자 베스트샵에 진열된 제품 모습. (사진=연합뉴스)
가전·반도체 실적 악화 불가피…화학업종 줄줄이 적자 전환

22일 이데일리가 금융정보기업 에프앤가이드와 함께 코스피 상장 기업 171곳(추천기관수 3곳 이상, 금융·보험업 제외)을 대상으로 올 2분기 실적 가이던스를 추정한 결과를 보면, 국내 핵심 산업의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실적 전망치)는 악화 일로를 걷고 있다. 중국의 코로나 봉쇄·우크라이나 사태 등 대외 악재로 인한 원자재·물류 비용 급등과 전 세계적 인플레이션에 따른 수요 감소가 직격탄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업종별로 보면 가전·반도체·디스플레이를 비롯해 대부분 업종에서 컨센서스 하향세가 두드러졌다. 삼성전자의 올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15조1958억원으로, 애초 16조원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을 무색게 했다. 일부 증권사는 14조원 후반까지 이익이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SK하이닉스 영업이익 전망치도 1개월 전(4조4050억원)과 비교해 3581억원(8.85%) 줄어든 4조469억원에 그쳤다.

가전업계도 실적 악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LG전자의 2분기 매출액,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각각 19조4307억원, 8877억원으로, 코로나19 엔데믹(풍토병화) 기대감으로 수요가 넘치던 올 1분기 대비 8.0%, 52.8% 줄어들 것으로 추정됐다. 디스플레이 업종은 올 1분기부터 이어진 수요 감소와 재고 누적에 따라 실적 악화 흐름을 이어갈 전망이다. LG디스플레이는 올 2분기 영업손실 134억원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매출액 컨센서스 역시 6조4486억원으로 7.4% 감소했다.

화학업종 역시 실적이 대폭 악화할 것으로 보인다. 원자재값 상승으로 인한 비용 부담과 증설로 늘어난 제품 공급에 비해 수요 회복이 더뎌서다. 올 2분기 컨센서스를 보면 효성화학과 DL은 적자 전환이 예상된다. 롯데케미칼(-88.3%), 대한유화(-81.9%), LG화학(-57.9%), 금호석유화학(-53.8%) 등 화학 업계 대부분의 영업이익 감소세가 예상됐다.

엔데믹으로 수혜를 볼 것으로 본 호텔·레저·도소매 업종도 영업익 감소를 피하지 못할 것으로 관측된다. 호텔신라의 올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33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2% 줄어들었다. 하나투어 역시 영업손실 264억원을 기록, 적자 폭을 늘릴 것으로 예측된다. 이마트 역시 물류비와 인건비 확대 등으로 올 2분기 5.3% 줄어든 72억원의 영업이익을 낼 전망이다.

지난 21일 부산항 신선대 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전문가들 “올 하반기 투자계획 유보…생존 걱정해야 할 처지”

급감한 수요에 재고까지 쌓이자 기업들은 생산량 감축까지 검토하고 있다. 실적 악화 흐름을 올 하반기까지 이어갈 수는 없다는 판단에서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최근 가전과 스마트폰 부품 주문량을 줄이겠다고 부품사에 통보했다. LG디스플레이도 TV용 LCD 패널 출하량을 줄이며 비용 절감에 나섰다.

그럼에도 전문가들 사이에선 ‘비관론’이 더 우세하다. 박상수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올 들어 생산 둔화가 이어지며 관련 재고도 누적되고 있다. 수요가 따르지 못해 재고가 쌓이는 것”이라며 “하방 압력이 커진 만큼 하반기 실적 둔화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이어 “전반적으로 제조업 설비투자가 감소하는 양상”이라며 “금리가 오르고 내수·수출이 모두 악화하면 그간 계획한 투자 등이 지연되거나 내년으로 유보할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성태윤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물가가 오르면서 단위 판매량이나 매출이 비슷해도 가격 자체가 높아 보이는 효과가 있다”며 “비용이 계속 증가하는 상황이기 때문이 이런 긴축 상황 속에서는 생존하는 문제에 더 신경을 쓸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봤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