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사칭광고 극약처방 내놓은 구글…메타는 여전히 '뒷짐'

한광범 기자I 2024.04.01 16:23:12

구글, 사칭광고 광고주 즉각 퇴출…영구 차단
광고주 진입장벽 높이고 LLM으로 탐지 고도화
'피해 극심' 메타, 주의 캠페인? 소극대처 일관

[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유명인을 사칭해 사기를 치는 스캠(Scam, 사기) 광고에 구글이 극약처방을 내놓았다. 스캠 광고를 올린 광고주에 대해선 경고 없이 곧바로 계정을 정지하기로 한 것이다.

구글. (사진=AFP)
1일 IT업계에 따르면 구글은 올해 3월 업데이트를 통해 구글 광고 정책에 ‘공인, 브랜드, 조직과의 제휴 또는 이들의 지위를 사칭하거나 허위로 암시해 사용자가 금전이나 개인 정보를 제공하도록 유도하는 행위’를 전면 금지하는 내용의 문구를 추가했다. 이번 정책은 유튜브 등 구글 모든 플랫폼에 적용된다.

구글은 그동안 다양한 정책을 통해 거짓 선동 문구가 들어간 악성 광고들에 대한 조치를 해왔다. 기존에도 ‘광고주의 비즈니스, 제품,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은폐하거나 허위 정보를 제공해 사용자를 속이는 광고’도 금지했지만 이번에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을 추가한 것이다.

구글은 거짓 광고를 한 광고주에 대해선 발견 즉시 사전 경고 없이 계정을 정지하고 다시는 구글에서 광고를 할 수 없도록 조치하고 있다. 이번에 정책 변경을 통해 ‘유명인 사칭’을 거짓 광고에 포함시킴에 따라 해당 광고주에 대한 즉각 퇴출 근거를 분명히 했다.

구글은 딥페이크 기술로 이전보다 정교한 유명인 사칭 광고가 계속되자 올 초 전담팀을 구성해 대응에 나서고 있다. 전담팀은 악성 광고 이용자의 행동 패턴을 정확히 파악해 자동화된 집행 모델을 훈련시켜 유사한 광고를 탐지해 대규모로 해당 광고를 삭제하고 있다.

광고주에 대한 신원 확인도 강화했다. 구글은 지난해 11월 ‘잘 알려지지 않은’ 광고주나 ‘신뢰할 만한 과거 내역이 없는’ 광고주에 대해서는 ‘광고주 파악 기간’을 적용해 광고의 도달 범위를 제한하는 정책을 새로 도입했다. 광고주 파악기간 동안 광고주와 광고주 추천 브랜드 간 관계가 불분명한 경우엔 광고 노출을 제한한다. 구글 관계자는 “아직 시행 초기지만 초기 지표상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구글은 올해 한국의 국회의원 총선거, 미국 대선 등 전 세계적으로 굵직굵직한 선거가 진행되는 점을 감안해 선거 관련 가짜뉴스 차단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광고주에 대해선 신원 검증을 철저하게 하고, 딥페이크 관련 정책을 테크 기업 중 최초로 도입했다.

기술적으로는 거대언어모델(LLM)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 구글이 삭제·차단한 광고 55억여개 가운데 기만·사칭 광고만 2억650만개에 달했다. 구글은 이중 4500만개를 지난해 처음 악성광고 탐지에 도입한 LLM을 통해 탐지했다.

구글과 달리 스캠 광고가 가장 많이 노출되고 있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은 여전히 미온적 대처로 일관하고 있다. 운영사인 메타는 캠페인을 펼치겠다고 밝히며 모니터링 강화 외에는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유명인들이 모여 기자회견을 통해 대책을 마련했지만 신고를 받고 뒤늦게 조치에 나서는 사후약방문식 대응에 그치고 있는 것이다.

IT업계에선 메타의 의지를 의심하고 있다. 한 글로벌 플랫폼 관계자는 “구글은 물론 한국 플랫폼과 달리 페북·인스타에서만 사칭 광고가 유독 심하다”며 “사칭 광고를 막으려는 정책·기술적 사전조치를 취하고 있는지조차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