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대항해시대'처럼 우주질서 재편 시작..아르테미스 계획 속내는

강민구 기자I 2022.11.16 17:25:01

[인터뷰]이창진 건국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美 아르테미스 1호 발사 성공..우주 법, 우주 기지 건설 탄력
중국 견제 위해 연합전선 구축..우주경제 선점 목표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반세기 만에 달 유인 탐사를 위한 첫걸음을 뗐다는 의미만 있는 게 아닙니다. 우주 경제를 선점하고, 세계 질서를 재편하겠다는 속내가 있습니다. 아르테미스 계획의 의미와 앞으로의 영향을 면밀하게 따져봐야 합니다.”

이창진 건국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16일 아르테미스 1호 발사가 성공한 가운데 이같이 아르테미스 계획의 의미에 대해 설명했다. 이창진 교수는 “이번 발사는 반세기 만에 이뤄지다보니 기술진이 은퇴해 문제 해결이 늦어지는 ‘기술적 단락’도 있었지만, NASA가 신중을 기하며 발사까지 성공적으로 해냈다”며 “후속 아르테미스 임무들에도 난관이 있겠지만 달 유인 탐사 계획도 결국 시기만 관건일 뿐 이뤄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성공을 주의 깊게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창진 건국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사진=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그는 학회에 다녀온 경험을 소개하며 미국 기업, 대학 등에서도 준비하고 있는 흐름에 주목해야 한다고 했다. 이창진 교수는 “최근 미국에서 열린 학회에서 기업, 대학 관계자들이 벌써 ‘우주 활용을 위한 법체계를 어떻게 해야 할지 논의하고 있었다”며 “앞으로 민간 기업들이 만들 우주경제와 우주 법체계가 필요한 미래를 내다보고 준비하는 부분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아르테미스 계획은 마치 ‘대항해시대’와 같다고 했다. 당시 항해술을 발전시켜 아메리카와 아시아로 가는 항로를 찾고, 세계를 일주하는 과정에서 자신들만의 항행 원칙을 만들었다. 이는 국제해양법의 기반이 됐다. 대상지만 우주로 바뀌었을 뿐 현재 상황이 똑같다는 것이다.

인류가 과거 지구 저궤도에 인공위성을 보냈다면 이제는 기술의 발전으로 달, 화성으로 시야가 확장되고 있다. 이른바 ‘우주인식영역’으로 인류의 생활 반경이 넓혀지는 시대가 곧 온다는 뜻이다. 반세기 전 아폴로 계획이 인류를 처음 달에 보냈다는 의미가 있다면 이번 아르테미스 1호를 시작으로 아르테미스 계획이 본격적으로 이뤄지며 우주비행사를 달로 보내고, 달 탐사 연합체를 중심으로 우주에서 살아가기 위한 국제 규범을 만드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는 것이다. 우주에서 연료 보급, 우주 통신, 항행 원칙 등이 필요한 가운데 미국은 시장 선점을 위해 준비하고 있다.

이창진 교수는 “중국이 우주굴기를 기반으로 국력을 과시한다고 하면 미국은 연합국들을 참여시켜 중국을 견제하고, 기업들이 비즈니스를 돕기 위해 주도권을 먼저 쥐려 한다”며 “미국의 포드 자동차가 자동차 시장을 선점한 것처럼 ‘우주경제’ 패러다임을 가져가려는 첫 시작을 하겠다는 속마음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렇다면 우리의 상황은 어떨까. 우리나라도 아르테미스 약정을 체결한 21개국 중 하나다. 다만, 직·간접으로 참여하는 아르테미스 계획은 없다. 이창진 교수는 “우리는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지만 정작 아르테미스 계획과 같은 큰그림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없다”며 “새로운 국제 우주 질서가 재편될 수 있는 가운데 우리만의 기술 개발만을 고집하는 게 아니라 국제 프로젝트에 어떻게 전략적으로 들어갈지 고민하고 새로운 흐름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