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앱카드로 넘어갈까 말까…유심카드의 고민

김동욱 기자I 2015.03.17 14:51:08

'NFC' 플랫폼 놓고 카드사간 '온도차'
삼성페이, 앱카드만 호환
하나·BC "투트랙 개발"

[이데일리 김동욱 정다슬 기자]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인 ‘삼성페이’를 들고 나온 삼성전자가 올 하반기 NFC 인프라 구축에 나서기로 하면서 모바일 결제시장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카드사들의 셈법이 복잡해졌다. NFC 규격을 놓고 카드사 간 이해관계가 엇갈리기 때문이다. 삼성이 보급하기로 한 NFC 결제기가 신한·삼성 ·KB·롯데·현대·농협카드 등 앱카드에서만 호환이 가능하다는 점이 논란의 발단이 됐다. 갤럭시S6에 탑재되는 삼성페이는 빠르게 국내 모바일 결제시장을 잠식해 2년 후에는 대중화에 성공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 삼성페이 NFC 신한 등 앱카드만 호환

NFC 결제기 규격은 신용카드 정보를 어디에 저장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예컨대 하나카드, BC카드가 밀고 있는 유심형 모바일 카드는 통신사가 제공한 유심(개인정보 보관장치)에 신용카드 정보를 담아 스마트폰을 카드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이 카드로 NFC 결제를 하려면 여기에 호환이 가능한 NFC 결제기를 써야 한다. 유심형 모바일 카드는 EMV(Europay Mastercard Visa) 규격을 따른다. EMV는 세계 3대 신용카드 회사인 벨기에의 유로페이, 미국의 마스터카드, 비자카드 등 3개사가 공동으로 만든 결제 규격으로 현재 국제 표준기술로 통한다. 애플의 애플페이, 구글의 구글월렛 등도 이 규격을 따른다. 그동안 NFC 기반의 모바일 카드에 주력했던 하나, BC카드가 시장에서 흥행에 성공하지 못한 것도 NFC 카드는 갖췄지만 정작 이 카드 규격에 맞는 단말기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국내 EMV 규격의 NFC 단말기는 3만대를 밑돈다.

그러나 삼성이 보급하기로 한 NFC 결제기엔 EMV 규격이 포함돼 있지 않다. 모바일 카드 고객의 90% 이상이 앱카드 고객인 만큼 NFC 결제기를 앱카드 규격으로 맞췄기 때문이다.

삼성으로선 NFC 결제기에 EMV 규격까지 같이 넣으려면 비용 부담이 더 커진다. 한 카드사 고위관계자는 “유심형 카드 진영도 결국엔 앱 방식으로 넘어올 것으로 보인다”며 “삼성페이가 도입되더라도 카드사 점유율이 뒤바뀌기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윤종문 여신금융연구소 선임연구원도 17일 보고서에서 “삼성페이가 한국의 NFC 결제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할 가능성이 크다”며 “기존 유심칩을 기반으로 한 카드사의 오프라인 모바일 결제는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 “EMV 규격 갖춘 유심카드 경쟁력 높아”

반면 하나, BC카드는 일단 유심형 카드에 주력하되 투트랙 전략을 써 앱카드 개발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최근 NFC 인프라 구축에 나선 미국, 호주 등 선진국 대부분이 NFC 결제기를 EMV 규격으로 맞추고 있는 만큼 중장기적으로는 유심형 카드가 더 경쟁력을 갖출 것이란 게 이들 카드사의 분석이다.

하나카드 관계자는 “중장기적으로 오프라인에서의 모바일 결제가 NFC 방식으로 넘어간다면 국내서도 EMV 단말기 보급이 더 확산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유심형카드가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 [단독] 삼성-앱카드 진영 맞손…NFC 결제기 30만대 보급
☞ 앱카드 6곳 '스마트폰 결제' 주도권 잡았다
☞ 커지는 모바일결제 시장, 카드사 'NFC' 갑론을박
☞ 카드업계 “삼성페이, 2년 후 대중화될 것"
☞ [뉴스분석] 삼성페이 출시로 '스마트폰 터치 결제' 확산될까
☞ 삼성페이 출시로 신한·삼성카드 웃는 이유는
☞ "스마트폰 대면 결제 끝"…삼성페이 출시에 카드사 반색하는 이유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