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1조원 투입 軍 정찰위성 사업 본격화…쎄트렉아이·KAI 수주 경쟁

김관용 기자I 2016.08.08 15:58:29

방사청, 10일 군 정찰 위성 업체 대상 사업설명회 개최
관측폭 넓은 수동형 위성 총 5기 개발, 연내 사업 착수 예정
탑재체·발사체·지상체 등으로 사업 나눠…발사체는 외산 도입
SAR 위성은 ADD 주관, EO/IR 위성은 항우연 위탁 개발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국방부와 국가정보원 간 위성 관제권 갈등으로 표류했던 군사 정찰위성 확보 사업이 부처 간 합의로 본격화 됐다. [☞관련기사 본지 8.8.일자 군사위성 주도권 다툼, 軍 국정원에 판정승…갈등 불씨는 남아]

방사청 관계자는 8일 “군사 정찰위성 개발 사업의 본 공고에 앞서 참여 희망 업체들을 대상으로 10일 사업설명회를 개최하기로 했다”면서 “사업 공고 이후 제안서 접수까지 40일 밖에 시간이 없기 때문에 업체들에게 사전에 충분히 사업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자리”라고 말했다.

이번 사업은 고성능 영상레이더(SAR) 탑재 위성 4기와 전자광학장비(EO) 및 적외선감시장비(IR) 탑재 위성 1기를 개발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전력화 하는 것이 목표다. 총 1조789억원이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다. SAR 위성은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으로, EO/IR 탑재 위성은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위탁 개발로 진행된다. 최대한 국내 기술을 적용해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군 정찰위성의 유형은 부처 간 합의로 국가정보원과 미래창조과학부가 제안한 ‘능동형 위성’이 아닌 국방부 안인 ‘수동형 위성’으로 결정됐다. 능동형 위성은 높은 공간해상도 데이터를 제공하기 때문에 고화질의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반해 수동형 위성은 공간해상도는 약간 떨어지지만 주파수 선택이 용이하고 관측 폭이 넓다.

방사청은 내달 사업 공고를 내고 10월 중 제안서 평가를 거쳐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방침이다. 12월까지 협상을 거쳐 최종 계약 후 본 개발을 시작한다. 공고는 탑재체·발사체·지상장비·관제시스템 등 4~5개의 개발 사업으로 나눠 발주될 예정이다. 탑재체 1기 개발에 약 5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발사체 개발은 국내 기술력 부족으로 해외 업체가 담당한다.

이번 사업에는 국내 유일의 위성시스템 개발업체인 쎄트렉아이(099320)와 위성 체계 개발 업체인 한국항공우주(047810)산업(KAI) 등이 컨소시엄을 이뤄 경쟁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군 정찰위성 확보 사업은 그동안 국방부와 국정원 간 이견으로 지연되다 최근에서야 부처 간 합의로 재개됐다. 군 정찰위성 확보라는 당초 사업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선 국방부가 설계 권한과 타 기관을 거치지 않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운영권한을 가져야 하지만 국정원이 관제권을 요구하면서 갈등을 빚었다. 군 책임하에 군 위성을 운영하는 것으로 부처 간 갈등은 일단락 됐지만, SAR 위성 정보는 국정원도 국방부와 동시에 직수신하도록 하고 EO/IR 위성은 국방부와 국정원이 공동 운영하는 것으로 결정돼 갈등의 불씨는 남아 있는 상황이다.

대북 감시용으로 활용되고 있는 아리랑3호 위성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