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中, 휴스턴 中영사관 폐쇄에…청두 美총영사관 폐쇄로 맞불

방성훈 기자I 2020.07.24 16:54:37

미 휴스턴 中영사관 폐쇄 요구에 따른 보복
마감 시한 맞춰 중국 내 美영사관 폐쇄 요구
"상하이·홍콩 영사관 아닌 청두…최악은 피했다"

중국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관. (사진=AFP)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미국의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 폐쇄 요구에 중국도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관 폐쇄로 맞불을 놨다.

중국 외교부는 24일(현지시간) 온라인 성명을 통해 “미국은 지난 21일 돌연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을 폐쇄한다고 중국에 통지했다”면서 “일방적인 도발”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관의 설립과 운영 허가를 철회한다”며 “모든 업무를 중단하라”고 맞섰다.

미국이 지난 21일 제시한 72시간의 휴스턴 총영사관 폐쇄 시한은 이날까지로 이미 보복을 예꼬했던 만큼 청두 총영사관 폐쇄로 맞대응한 것이다.

중국 외교부는 “이(미국의 조치)는 국제법 및 국제관계 기본준칙, 중미 영사조약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일 뿐더러 중미 관계를 심각하게 훼손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모든 책임은 전적으로 미국 측에 있다. 미국은 즉시 일련의 잘못된 조치를 중단하고, 양국 관계가 정상으로 돌아가기 위한 적절한 상황을 만들라”고 촉구했다.

지난 1985년 개설된 청두 총영사관은 중국 남서부 도시 쓰촨, 윈난, 구이저우, 충칭을 관할하고 있으며, 신장과 티베트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허브’ 역할도 하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가들은 중국 공산당이 신장과 티베트 등지에서 인권을 탄압하고 있다고 비판해 왔다. 현재 200명의 직원이 청두 총영사관에 근무하고 있으며 4분의 3이 중국인이다.

미국은 중국 내 5개 영사관을 두고 있는데, 청두를 낙점하게 된 것은 미국 정부가 티베트 인권탄압에 관여한 중국 관료를 제재하기로 한 최근 조치와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청두는 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일대일로 정책의 핵심 요충지로, 동유럽을 넘어 서유럽까지 각종 중국산 제품을 실어나르는 허브 기능을 맡고 있다.

중국 제조업 중심지인 충칭과 인접한 도시이기도 하다. 정치적으로는 지난 2012년 왕리쥔 충칭시 전 공안국장이 보시라이 전 충칭시 당 서기의 위협을 피해 청두 총영사관에 망명을 신청하면서 이름이 알려졌다.

앞서 로이터통신 등은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발원지로 알려진 우한 주재 미국 총영사관 폐쇄를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한바 있다. 하지만 해당 총영사관은 사실상 폐쇄 상태인 만큼 청두 총영사관이 더 큰 타격을 줄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미중 갈등이 최고조에 달하면서 양국 모두 자국 내 상대국의 총영사관을 추가 폐쇄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지난 22일 “추가 폐쇄 역시 검토하고 있다”고 이미 공식화했다. 중국 역시 이번 보복을 통해 미국 정부가 추가 폐쇄에 나설 경우 똑같이 보복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추가 폐쇄 대상으로는 샌프란시스코 주재 중국 총영사관이 거론되고 있다. 다만 중국 정부가 홍콩이나 상하이 총영사관을 폐쇄하지 않은 만큼, 최악의 상황은 피하려고 한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유라시아그룹의 마이클 허슨 중국 및 동북아시아 총괄은 CNBC에 “만약 그들(중국)이 청두나 선양을 선택한다면, 이는 미국이 휴스턴을 선택한 결정과 비슷하다”며 “상하이나 광저우를 타깃으로 한다면 이는 휴스턴보다 한 단계 위의 조치”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홍콩 총영사관을 폐쇄하는 것이 양국 간 긴장을 가장 심화시킬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